피해 유형 다양…텃세 방지법은 폐기 처분 위기귀농·귀촌 대책 수혜율 10% 밑돌아…맞춤형 정책 필요
올해 3월 경북 의성에서 20대 청년 농부가 숨지는 사건이 세상에 알려지면서 귀농·귀촌 과정에서의 문제점이 수면 위로 떠올랐다. 이 청년은 농업고등학교와 농업대학을 나와 농업인의 길을 선택했지만 청년 농업인 단체와의 갈등을 이기지 못하고 세상을 등졌다.
지난해 농가 인구는 100만 가구 선이 무너지며 역대 최저를 기록했다. 고령 농가인구 비율은 처음으로 전체 농가인구의 절반을 넘어섰고 청년농민 수는 최저점을 찍었다. 귀농·귀촌 인구도 감소하면서 농촌 소멸의 시계는 점점 빨라지고 있다.
통계청의 '2023년 농림어업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농가 수는 99만9022가구로 주저앉았다. 농가 수가 100만 가구
지난해 귀농ㆍ귀촌 가구가 4만4천가구를 넘어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19일 농림축산식품부와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귀농ㆍ귀촌 가구가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면서 총 4만4586가구로 2013년도와 견줘 1만2162가구(37.5%)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1.4배 큰 폭으로 증가한 수치로 최근 3년간 증가폭이 확대되고 있다.
특히 40대 이하 젊은층
최근 차별화된 발상의 전환으로 희망의 꿈을 현실로 바꾼 농업인의 삶을 모아 전국의 강소농 경영체 교육을 하다보면 의외로 교육생 중에 귀농한 농가가 많음에 크게 놀랐다. 귀농이란 원래 도시에서 살던 사람이 농사를 짓겠다며 농촌에 새로운 삶의 보금자리를 마련하는 것으로, 전국의 누적 귀농 농가수는 2000년 1만8798가구(전체 농가의 1.4%)에서 2013년
내년 정년퇴직을 앞두고 있는 박모(57, 남)씨는 퇴직 후 아내와 함께 전원주택에서 노후를 보낼 계획이다. 귀농 귀촌에 경험이 없는 박 씨는 아내와 상의 끝에 서울근교에 위치한 전원주택단지를 중심으로 알아보는 중이다.
박 씨와 같이 퇴직을 앞두고 노후를 보낼 평생 거처로 전원주택을 선호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하지만 적응하지 못해 얼마 버티지 못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