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건설수주 -10.4%, 집값 -1.8% 전망…공급도 수요도 '부진'

입력 2024-06-11 14:5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이지혜 한국건설산업연구위원이 11일 열린 '2024 하반기 건설·부동산 경기 전망 세미나'에서 건설수주 전망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허지은 기자 hje@)
▲이지혜 한국건설산업연구위원이 11일 열린 '2024 하반기 건설·부동산 경기 전망 세미나'에서 건설수주 전망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허지은 기자 hje@)

건설·부동산 경기 지표가 혼조세를 보이고 있는 상황에서 하반기 전망이 나왔다. 하반기에도 고금리 기조가 이어지고 부동산 PF(프로젝트파이낸싱) 구조조정이 예정돼 있어 건설경기는 하락세를 거듭할 것으로 예상된다. 부동산 매매가격 역시 하락세가 이어지며 공급과 수요 측면에서 모두 부진할 것으로 보인다.

11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건산연)은 서울 강남구 건설회관에서 '2024년 하반기 건설·부동산 경기전망'을 발표하는 세미나를 개최했다.

현재 건설·부동산 경기와 관련된 지표들은 엇갈리고 있다. 서울에서는 아파트 거래량이 증가하고 있고, 아파트값도 오르는 등 침체 분위기를 쇄신하는 지표가 나오고 있다. 동시에 지방에서는 여전히 미분양이 늘고 있다. 일부 개선되는 수치를 두고 시장이 회복될 것이라는 기대감도 나온다. 주택사업연구원은 6월 전국 주택사업경기전망지수가 82.7로 전월(74.1)대비 8.6포인트(p) 상승했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이지혜 건산연 연구위원은 하반기 건설수주와 건설투자 모두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건설경기 선행지표인 건설수주가 지난해부터 감소세에 있고 경제 저성장, 고물가, 금융여건의 어려움이 지속되고 있어서다.

건설수주는 전년 대비 10.4% 줄어든 170조2000억 원으로 전망됐다. 국내 건설수주는 2022년 229조7000억 원으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그러나 지난해 17.4% 하락하며 189조8000억 원을 기록한 이후, 올해에도 감소세를 지속하고 있다.

공공수주는 사회간접자본(SOC) 예산이 증가하고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공사와 가덕도신공항 사업의 추진 등 대형 토목사업의 영향으로 0.8%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 민간수주는 고금리 상황이 지속되고 있어, 토목과 건축 수주 모두 부진해 전년대비 16.1%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건설투자는 전년 대비 1.3% 감소한 302조1000억 원이 될 것으로 예상됐다. 건설투자는 2022년 301조40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3.5% 줄어들었다가 지난해 306조 원으로 다소 개선됐다. 하지만 2022년부터 2023년 사이 건축 착공이 감소해 올해 주거용과 비주거용 건축투자 역시 부진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올해에는 고금리 상황이 이어지고 하반기에는 부동산 PF 구조조정이 진행될 계획이어서 건설기업 자금조달 어려움이 커진 상황이다. 높은 공사비로 인해 수익성이 높은 사업에 대한 선별적 수주가 이루어지고 있어 전체적인 수주가 감소한 것도 영향을 줄 것으로 분석됐다.

주택·부동산시장 전망도 어둡다. 김성환 건산연 부연구위원은 부동산 매매가격의 경우 수도권은 현 수준을 유지하더라도 지방의 낙폭이 커 올해 연간 1.8% 하락할 것으로 내다봤다.

김 부연구위원은 "지속적인 가격 상승을 이끌어내기에는 가격 수준 자체가 높고, 하반기 금리 인하 수준이 당초 시장 기대보다 높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며 "매매용 신생아 특례대출 잔액이 충분치 않다는 점과 체감 경기가 개선되지 않고 있다는 점으로 인해 하락세가 예상된다"고 말했다.

지역별 전망은 갈렸다. 수도권은 상반기 하락한 가격을 유지하는 수준의 보합세를 보이며 0.5% 하락할 것으로 예상됐지만, 지방은 4월까지 나타났던 낙폭 축소 흐름이 이어지지 못하고 재차 하락하며 감소폭은 3.0%로 예측됐다.

주택 전세가격은 상반기 0.2% 상승한 데 이어 하반기에도 2.8% 상승해 연간 3.0%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하반기 주택 공급도 위축 상황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공공부문 공급은 정부가 제시한 공급대책 수준으로 이어지더라도 민간 부문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이어서다.

올해 총 인허가 물량은 37만 가구 수준으로, 전년 대비 13.7% 줄어들 전망이다. 민간 부문은 28만 가구 수준으로 예상된다. 지난해(35만 가구) 대비 20% 감소하는 것이다. 공공부문 인허가 물량은 당초 목표한 9만 가구 실적을 달성하며, 지난해(7만7800가구) 대비 약 15% 늘어날 것으로 봤다.

분양은 26만 가구 수준의 물량이 예상된다. 2023년에 비해서는 30%가 넘는 개선폭이지만, 2022년 이후 지속된 미착공 물량 누증 부담이 작용한 기저효과에 의한 것으로 풀이된다. 연 26만 가구 분양은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발했던 2008년과 동일한 수준의 공급량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20년 째 공회전' 허울 뿐인 아시아 금융허브의 꿈 [외국 금융사 脫코리아]
  • 단독 "한 번 뗄 때마다 수 백만원 수령 가능" 가짜 용종 보험사기 기승
  • 8만 달러 터치한 비트코인, 연내 '10만 달러'도 넘보나 [Bit코인]
  • '11월 11일 빼빼로데이', 빼빼로 과자 선물 유래는?
  • 환자복도 없던 우즈베크에 ‘한국식 병원’ 우뚝…“사람 살리는 병원” [르포]
  • 100일 넘긴 배달앱 수수료 합의, 오늘이 최대 분수령
  • '누누티비'ㆍ'티비위키'ㆍ'오케이툰' 운영자 검거 성공
  • 수능 D-3 문답지 배부 시작...전국 85개 시험지구로
  • 오늘의 상승종목

  • 11.11 12:42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13,595,000
    • +5.88%
    • 이더리움
    • 4,454,000
    • +2.16%
    • 비트코인 캐시
    • 618,500
    • +3.95%
    • 리플
    • 828
    • +4.15%
    • 솔라나
    • 293,300
    • +4.34%
    • 에이다
    • 830
    • +11.86%
    • 이오스
    • 810
    • +15.22%
    • 트론
    • 232
    • +3.11%
    • 스텔라루멘
    • 156
    • +7.59%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550
    • +7.88%
    • 체인링크
    • 20,090
    • +3.77%
    • 샌드박스
    • 423
    • +10.1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