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올해 1∼4월 부가가치세 수입은 40조3000억 원으로 전년대비 4조4000억 원 늘었다. 같은 기간 기준 역대 최대다.
1∼4월 부가세 수입은 30조 원 초반대를 기록하다 코로나19로 2020년 29조5000억 원으로 줄었다가 다시 2021년 34조4000억 원, 2022년 39조7000억 원으로 늘었다가 작년에는 35조9000억 원으로 다시 감소했다.
부가세는 간접세의 하나로 상품을 생산하면서 증가한 가치에 기반을 둬 징수되는 세금으로 최종 소비자가격의 10%다. 부가세는 1월, 4월, 7월, 10월에 나눠 신고하고 내며 1분기(1∼3월) 매출에 대한 부가세는 4월에 낸다.
부가세가 많이 증가한 것은 국내 소비 증가 영향이 크다. 한국은행의 국내총생산(GDP) 잠정치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민간소비는 의류 등 재화와 음식·숙박 등 서비스가 모두 늘어 전 분기보다 0.7% 증가했다. 작년 같은 기간보다는 1.0% 늘어났다.
아울러 정부는 영세 자영업자·소상공인의 부가세 납부 기한을 1월에서 3월로 연장했는데 유예 규모 6000억 원 가운데 절반가량인 3000억 원이 유예 기간 종료에 맞춰 걷혔다.
부가세가 크게 늘면서 2년 연속 세수 펑크가 유력한 상황에서 정부로서는 효자 역할을 톡톡히 할 것으로 보인다.
부가세를 제외하고 전체적인 세입 수준은 법인세가 대폭 감소하면서 녹록지 않은 실정이기 때문이다.
1∼4월 법인세는 역대 최대 규모의 세수 펑크가 났던 작년보다도 12조8000억 원(35.9%)이 줄었다.
정부는 올 한해 367조3000억 원의 세금을 걷을 것으로 예상했으나 4월까지 걷힌 총국세는 125조6000억 원에 그쳤다. 진도율은 34.2%로 최근 5년 평균(38.3%)을 밑돌고 있다. 대규모 세수 결손이 났던 작년(38.9%)보다 낮은 수준이다.
기재부 관계자는 "작년만큼 대규모 '펑크'가 나오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며 "5월 세수 상황을 보면 구체적인 결손 규모에 대한 전망이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