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계의 위기감이 다시 한번 고조되고 있다. 주택시장이 침체한 데다 고금리와 원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자금 사정이 나아질 기미를 찾기 힘들어서다. 부도 업체까지 속출하면서 22대 총선이 끝난 뒤 중소·중견업체가 대거 무너질 수 있다는 '4월 위기설'도 고개를 들고 있다.
20일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들어 총 5곳의 건설업체가 부도를 냈다. 지난해 같은 기간 2곳에서 두 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2019년(10곳)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부도업체는 광주, 울산, 경북, 경남, 제주 등 모두 지방 전문 건설사다.
폐업 건수도 늘고 있다. 지난달 종합건설사 폐업신고는 35건으로 전년 동기(31건)보다 12.9% 증가했다. 같은 기간 전문건설사 폐업신고는 190건에서 248건으로 30% 이상 확대됐다.
특히 주택사업에 뛰어드는 업체는 급감하고 사업을 접는 곳은 증가하는 상황이다. 대한주택건설협회의 자료를 보면 지난해 주택건설업 신규등록 건수는 총 429건으로 1년 전보다 60% 이상 줄었다.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9년(363건) 이후 최저치다.
반대로 주택건설업 등록 자진반납 건수는 843건으로 관련 통계가 집계된 1995년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올해도 마찬가지 양상이다. 1월 주택건설업 신규등록은 38건에 그쳤지만, 자진반납은 170건에 달했다.
주택경기 개선을 기대하기 어려운 게 주요 배경이다. 주택산업연구원의 2월 주택사업경기전망지수는 64로 전월보다 2.7p 하락했다. 85 미만이면 하강국면으로 분류되는 데 사업자들은 주택경기가 더욱 나빠질 것으로 보고 있다는 의미다.
건설업체 상당수는 자금 사정도 좋지 않은 상태다. 한국경제인협회가 시장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국내 매출 500대 건설기업(102개사 응답)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76.4%가 현재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을 감당하기 어렵다고 답했다. 자금 사정이 양호하다는 답변은 18.6%에 불과했다.
하반기 자금시장이 현재와 비슷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비중은 52.9%였고 악화할 것이란 응답도 33.4%나 됐다.
자금 사정을 압박하는 요인은 고금리와 급격한 원자재 가격 상승이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설공사비지수는 작년 말 153.26으로 3년 새 25.8% 올랐다. 건설업계에서는 간접비 등까지 고려하면 실질 공사비가 50% 이상 늘었다고 설명한다.
청약 시장 냉각은 미분양으로 인한 건설사 자금난 심화 우려를 키우는 요인이다. 신세계건설이 법정관리 후보로 지속해서 거론되는 이유도 대구 지역 미분양으로 인한 유동성 악화 때문이다.
한 건설사 관계자는 "건설 경기나 자금조달 여건 등이 단기에 개선되기 어려워 전반적으로 경영난 심화가 불가피하고 특히 중소·중견업체가 무너질 가능성이 작지 않아 긴장하지 않을 수 없다"며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위험과 부도업체가 확대되면 유동성 확보가 더욱 어려워 질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중소·중견 업체가 대거 부도를 낼 수 있다는 4월 위기설은 과도한 측면이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미분양 부담이 크고 자금 여력이 부족한 중소·중견 건설사 중 문을 닫는 곳이 나오겠지만, 충분히 예고된 우려란 점 등을 고려할 때 어느 정도 대응이 가능하고 그 규모도 건설업 전반을 흔들 정도는 아닐 것"이라며 "어느 산업에나 있는 불황기 조정 수준에 그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건설업 초호황기와 비교하면서 위기를 지나치게 확대 해석하는 것을 경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