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원회가 태영건설 워크아웃에 대해 충분한 자구 노력과 채권단의 협조, 시장의 신뢰가 있어야 정상화가 가능하다고 28일 밝혔다.
이날 도급순위 16위인 태영건설이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을 신청했다. 금융위는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기획재정부, 국토교통부, 금융감독원, 산업은행 등과 '태영건설 워크아웃 신청 관련 브리핑'을 열고 태영건설의 어려움이 업권 전반의 문제가 아니라는 점을 강조했다.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브리핑에서 "자기자본 대비 과다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보증 등 태영건설 특유의 문제로 인한 어려움이고, 건설업 전반의 문제라고 보기 곤란하다"고 말했다.
다음은 김 위원장과 권대영 상임위원과의 일문일답이다.
태영건설이 부동산 호황기와 저금리 시기에 외형을 많이 늘렸는데, 글로벌 긴축과 금리 인상기가 도래하고 PF사업장의 사업성이 떨어지니 유동성 문제가 발생했다. 태영건설의 경우 여타 건설사들과 다른 특수성이 있었다. 자체시행 사업 비중이 높고, 부채비율이 258%로 높았다. 다른 주요 건설사 부채비율은 GS 205%, 포스코이앤씨 128%, 현대 114%, DL이앤씨 75% 등이다. 또한, 자기자본 대비 PF보증(3조7000억 원) 비중도 374%로 과다했다. 다른 건설사의 자기자본대비 PF 보증 비중은 현대 122%, GS 61%, DL이앤씨 36%, 포스코이앤씨 36% 등이다.
태영건설이 1조 원 정도의 자구 노력을 했지만, 시장에서 불신 목소리가 계속 높아지니 시장에 모든 정보를 제출하고 추가적인 사재출연 등을 통해 채권단 금융채무에 대해 시간을 벌려고 한 것으로 파악된다. 회생과 달리, 워크아웃은 상거래 채권을 갚아야 하기 때문에 내일 만기가 돌아오는 1485억 원 규모의 상거래 채권에 대해 결제할 것으로 예상된다. 태영건설이 워크아웃에 들어갈 경우, 태영만이 아니라 채권단과 태영 협력업체 등에도 유리하다.
정상화를 위해서는 네 가지 전제 조건이 있다. 우선 태영건설의 강도 높고 철저한 자구노력이 대전제가 돼야 한다. 이를 바탕으로 채권단과 협의를 해야 하고, '통제가 가능하겠다'는 시장의 신뢰가 뒷받침돼야 한다. 이를 가능하게 하도록 산업은행, 정부 등이 노력을 하겠다.
태영그룹‧대주주는 그간 1조원 이상의 자구노력을 했다. 태영인더스트리 매각, 골프장 담보 대출, 티와이홀딩스의 에코비트 매각 자금 등을 통해서다. 이와 함께 계열사 매각, 자산‧지분담보 제공 등 추가 자구 계획을 제출했다. 주채권은행인 KDB산업은행과 이를 구체화하는 중이다. 산업은행은 태영그룹의 충분한 자구노력을 전제로 태영건설 경영 정상화 방안을 논의해 나갈 계획이다.
태영건설의 특수한 상황 때문에 발생한 일이기 때문에 과도한 불안심리 확산만 없다면 건설산업 전반이나 금융시장의 시스템 리스크로 연결될 가능성은 없다고 본다. 하지만 혹시 모를 가능성에 대비해 시장 안정 대책을 확고히 하겠다. 작년 레고랜드 사태를 극복한 경험을 통해 이미 극복할 여력을 충분히 갖췄다. 또한, 금융감독원에서 상시적으로 건설사, 시공사를 들여다보고 있는데 특별히 걱정스러운 곳은 보이지 않고 있다. 타 건설사 등은 태영건설과 달리 현금도 많고 차환도 잘 되고 있다.
당시와 지금은 글로벌 시장의 방향성이 바뀌었다. 당시에는 금리가 오르고, 긴축 모드였지만 지금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통해 금리 인상의 끝이 보이고 있다. 국내 역시 금융시장 자체가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또한, 레고랜드 사태는 금융당국이 전혀 예상하지 못했던 이벤트였던 것과 달리, 지금 태영건설의 사례는 이미 다 알고 있었고 충분히 대비해온 리스크라 잘 관리하면 될 문제다.
시간을 가지고 질서정연하게 부동산과 PF시장 연착륙을 시키겠다는 일관된 메시지를 가지고 있다. 정상 사업장은 자금을 공급해서 정상화하고, 어려운 사업장은 재구조화를 하겠다. 이를 위해서 앞서 9월 말 마련한 주택공급정책에 따라 25조 원 규모 프로그램으로 사업자 보증을 하고 있다. 재구조화 펀드를 캠코를 통해 1조 원, 금융권을 통해 2조 원 정도 운용하고 있다. 이밖에 추가적인 대책을 국토부와 함께 마련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