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힐 뻔했던 삼성전자와 LG전자의 중동 아시아 수출길이 다시 열릴 전망이다. 연 300억 원 규모의 가전제품 수출국인 우즈베키스탄이 에너지효율 규제를 완화하기로 했기 때문이다.
4일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무역기술장벽(TBT) 신속대응반을 통해 1일 우즈베키스탄 에너지부와 현지 양자 협상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수입·내수 제품 간 규제 차별 완화와 시행유예를 요청했다.
협상 결과 우즈베키스탄 측은 규제 개정 절차에 착수하기로 했다. 개정 때까지 국내 기업 수출제품의 통관이 다시 이뤄진다.
앞서 우즈베키스탄은 지난해 21월 수입 가전제품에 대한 에너지효율 등급을 2단계 이상 상향하는 등 규제 강화 내용을 발표했다. 사전 통보와 유예기간이 없이 이뤄져 국내 기업의 우즈베키스탄 가전제품 수출 차질이 발생할 가능성이 컸지만, 이번 조치로 한숨 돌리게 됐다.
우즈베키스탄은 삼성전자와 LG전자 등 가전제품이 연 300억 원 규모로 수출되는 곳이다. 현지에선 삼성전자와 LG전자 등 한국 가전제품이 인기를 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후 우즈베키스탄이 대안으로 떠오르면서 일부 기업이 생산공장 건설까지 검토에 나선 상태다.
국표원은 2일엔 우즈베키스탄 기술규제청을 방문해 WTO TBT 중앙사무국으로서 경험을 공유하고 유사 규제 도입에 선제 대응하려는 방안을 모색했다고 밝혔다.
우즈베키스탄은 WTO 비회원국이라 정보수집과 자체 대응이 어렵다. 국표원은 우즈베키스탄이나 인도, 멕시코 등 기술규제 도입 증가로 기업 애로가 늘어나는 국가를 대상으로 양자 회의나 현지 간담회 등 해외 기술규제 협력을 확대할 예정이다.
이창수 국표원 기술규제대응국장은 "국제 에너지 위기가 전 세계 산업과 경제를 위협하는 상황에서 각국의 탄소중립 관련 TBT는 더 강화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TBT 신속대응반을 적재적소에 파견해 애로를 신속히 해결함으로써 수출 플러스 전환에 이바지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