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50년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핵심 기술로 꼽히는 '이산화탄소 포집·활용·저장(CCUS)' 기술 상용화가 일자리 창출에 크게 기여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노동연구원이 최근 내놓은 'CCUS 사업의 고용영향' 보고서를 통해 "2050년까지 탄소중립에 도달을 목표로 하는 탄소중립 시나리오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CCUS 기술에 대한 대규모 연구개발 및 상업화 투자가 향후 고용에 크게 기여할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CCUS는 대기 중이나 배출가스에 포함된 이산화탄소를 골라 모은 뒤 이를 산업적으로 활용하거나 안전하게 장기간 저장하는 기술이다. 단순히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것에 그치지 않고, 배출된 탄소를 활용할 수 있는 수단의 필요성이 부각되면서 주목받기 시작했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CCUS를 기후 위기에 대응할 수 있는 기술이자 코로나19 사태 이후 침체된 경제 회복에 이바지할 수 있는 강력한 요소로 평가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CCUS 기술 상용화를 위한 기업 설비 투자액은 2021~2030년 3조9820억 원, 2031~2040년 8조4470억 원, 2041~2050년 16조5777억 원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럴 경우 2021~2030년의 누적 고용창출 효과는 1만7628명, 2031~2040년 4만2384명, 2041~2050년 4만2804명으로 추정됐다. 2021~2050년 총 10만2816개의 일자리가 창출된다는 얘기다.
또한 향후 단순 기능직은 감소하고 기술직과 연구개발직 등이 늘어나는 등 고용의 질도 개선된 것이란 분석이다.
CCUS 산업이 다른 산업들과의 연관관계가 긴밀한 산업이라는 점에서 전방 연관효과도 크다고 봤다.
보고서는 CCUS 연구개발 및 상업화 투자 속에 정부가 전문가 양성, 기술개발 투자 등을 위한 지원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한다면 향후 국가 경제에 크게 기여하고 양질의 고용 창출이 가능하다고 분석했다.
구체적으로 보고서는 "이산화탄소(CO2) 포집 공정 기술 및 활용 기술의 산업화를 위한 기술 개발은 물론 CO2를 포함한 온실가스 감축에 대한 측정·인정 기준 설정 분야의 고급 인력 공급이 요구된다"며 "일자리 감소가 예상되는 단순 기능직 근로자의 전직 지원을 위한 고용서비스도 강화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기술개발 투자 및 경제성 확보를 위한 정책적 지원도 강조했다.
보고서는 "선진국과 큰 기술 격차가 존재하고, 초기 개발 단계인 경우가 많다“면서 ”정부의 과감한 기술개발 지원 및 투자와 더불어 민간 투자 유도, 경제성 확보를 위한 다양한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고 했다.
아울러 청정 산업의 수출을 확대하고, 국제사회와의 탄소중립 협력 사업도 적극 추진해야 한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