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에서 아파트값 양극화가 두 배 이상 심화하면서 고가 아파트와 저가 아파트값이 10배 차이로 벌어졌다.
10일 KB국민은행 월간 주택시장동향 시계열 통계에 따르면 4월 전국 아파트 매매 5분위 배율은 10.1을 기록했다. 이는 2008년 12월 해당 조사가 시작된 이래 역대로 가장 높은 수치다. 5분위 배율은 주택을 가격순으로 5등분해 상위 20%(5분위)의 평균 가격을 하위 20%(1분위)의 평균 가격으로 나눈 값이다. 배율이 높을수록 고가주택과 저가주택 간 양극화가 심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5분위 배율 10.1은 지난달 가격 상위 20%의 아파트가 하위 20% 아파트보다 매매가격이 10배 넘게 높다는 것이다. 전국 하위 20%의 아파트값은 평균 1억2313만 원, 상위 20%의 아파트값은 평균 12억4707만 원으로 나타났다.
문재인 정부 출범 직전인 2017년 4월 아파트 매매 5분위 배율은 4.7 수준이었다. 5년간 배율이 2배 이상 상승하면서 양극화가 심화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전남 고흥군 뉴코아아파트 전용면적 22㎡형은 지난달 1350만 원에 거래됐다. 반면 서울에서는 지난달 성동구 성수동 1가 갤러리아포레 전용 241㎡가 78억5000만 원, 강남구 청담동 효성빌라청담 전용 226㎡가 74억7000만 원에 각각 거래됐다.
전국 아파트 전세 시장 5분위 배율도 같은 기간 4.9에서 8.0으로 상승했다.
지난달 전국 하위 20% 아파트 전셋값은 8809만 원이었으나, 상위 20% 아파트 전셋값은 7억116만 원으로 나타났다. 약 8배 차이가 나는 셈이다.
박합수 건국대 부동산대학원 겸임교수는 "아파트값 양극화는 대출 규제와 금리 인상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아 가격이 꾸준히 오르는 대형 '똘똘한 한 채'의 선호 현상과 무관치 않다"고 말했다.
한편 중산층들의 아파트 구매도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다. 지난해 12월 말 기준 전국 '연 소득 대비 주택구매가격비율(PIR)'은 3분위 기준 7.6으로 집계됐다. PIR은 주택 가격을 가구 소득으로 나눈 것으로, 중산층이 월급을 한 푼도 쓰지 않고 7년 넘게 모아야 중간 가격 대 집을 마련할 수 있다는 의미다.
서울의 경우 이 수치는 2017년 말 11.5에서 지난해 말 19.0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박 교수는 "아파트값 양극화를 해결하고 서민들의 내 집 마련 시기를 앞당기려면 도심에 중소형 아파트 공급을 집중적으로 늘리는 수밖에 없다"며 "공급 확충을 위해서는 용적률 상한을 올리는 것 외에도 인허가 절차를 획기적으로 줄이는 서울시의 '신속통합기획'을 모든 사업장으로 확대 적용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