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C&E가 시멘트 제조 시 사용되는 유연탄을 순환자원으로 대체하기 위한 투자를 약 2000억 원 규모로 늘린다.
쌍용C&E는 2020년까지 1016억 원을 들여 순환자원 재활용 증대를 위한 1단계 혁신공사를 마무리했으며 올해부터 2023년까지 916억 원을 투입, 폐합성수지 투입설비증설과 폐열발전설비 투자에 사용한다. 잠정 추정치는 총 1932억 원이다.
17일 쌍용C&E 관계자는 “1단계 투자가 끝나고 2단계 투자가 진행 중”이라며 “916억 원이라는 계획은 아직 잠정치이며 앞으로 계획에 따라 유동적”이라고 설명했다.
1단계 혁신 공사는 2020년 중으로 마무리됐으며 유연탄 사용을 줄이고 폐합성수지 등 순환 연료 사용을 증대시키는 설비를 구축했다.
현재 구축된 주요 설비는 상폐열회수발전기다. 산업현장은 공정별로 발생하는 폐열의 종류와 특성이 다양하므로 폐열발전설비의 최적 설계 조건을 달리한다. 시멘트업계는 폐열을 회수하기 위한 예열실, 냉각기 및 보일러를 별도로 설치해 증기를 생산해 터빈을 가동하는 물-증기발전방식을 주로 활용한다.
쌍용C&E의 폐열발전설비는 시멘트 반제품인 클링커를 생산하는 소성로(킬른)에서 발생하는 약 2000°C의 열원이 소성 공정을 거쳐 350°C까지 떨어지면, 해당 열원을 회수해 전력을 생산하고 있다. 쌍용C&E는 2019년 상폐열회수발전 설비(총 43.5MW 수준) 가동을 통해 연간 온실가스 배출량 13만 톤가량을 절감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2단계 혁신 공사는 폐열발전 설비와 폐합성수지 투입설비 증설을 진행한다.
쌍용C&E는 쿨러(Cooler) 개조를 통한 폐열발전설비 증설에 자금을 투입할 계획이다. 대상 설비는 소성로 2기다. 폐열회수가 현재 회전형 수랭식(water cooler) 방식의 설비로 불가능하나, 고정형 GP(Grate Plate) 형태의 쿨러 방식(Air Cooler, 공랭식)으로 교체 시 폐열회수가 가능하다. 증설 용량은 6.0MW로 수준이다. 연간 온실가스 배출량 예상 감소분은 약 2만508 톤 CO2 EQ (이산화탄소 환산량)이다.
또한, 쌍용C&E는 폐합성수지 투입설비증설 공사를 통해 시멘트 제조 과정에서 폐합성수지 투입량(사용량)을 증가시킬 계획이다. 소성로 1기당 연간 13만6000톤의 폐합성수지 투입량이 증가해 연간 총 27만2000톤의 폐합성수지 투입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
시멘트 제조 공정에서 순환자원 활용은 고온으로 인해 상당 부분의 오염물질이 분해되고 2차 폐기물의 발생이 상대적으로 적다. 온실가스 이외에도 폐합성수지의 대량 매립 공간 확보나 불완전 소각으로 인한 유해가스 등 이차적인 환경피해가 감소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