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인공지능(AI) 신기술 확보와 제도 기반 정비 등을 통해 2025년까지 43조 원 규모의 데이터시장과 90만 개의 일자리를 만든다는 청사진을 내놨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5일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한국판 뉴딜, 대한민국 인공지능을 만나다’ 행사에서 인공지능 국가전략 분야별 주요 성과와 향후 계획 등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AI 국가전략은 지난해 12월 국무회의를 통해 범정부 차원에서 마련한 것으로, 인공지능 생태계ㆍ활용ㆍ사람 중심의 3대 분야 9대 전략과 100대 실행과제를 통해 2030년까지 최대 455조 원의 경제 효과를 창출하고 디지털 경쟁력 세계 3위, 삶의 질 세계 10위 도달 등의 목표를 담았다.
정부는 디지털 혁신 확산을 위해 데이터 댐과 지능형 정부, 사회간접자본(SOC) 디지털화 등 디지털 뉴딜 과제를 추진하고 있다. 디지털 뉴딜의 대표 사업 중 하나인 데이터 댐은 민간에 14만여 개 공공데이터를 제공한다. 올해 7월 기준 데이터 댐 사업에는 2400여 개 기업과 기관이 참여해 약 2만8000개 이상의 일자리를 창출했다.
정부는 연내 AI 학습용 데이터 191종과 빅데이터 플랫폼 16개 등을 구축하고 2025년까지 43조 원의 데이터 시장과 90만여 개 일자리를 창출할 계획이다. AI 전문기업도 2025년까지 150여 개로 늘린다. 또 2025년까지 10만 명의 AIㆍ소프트웨어 분야 인력을 양성하고 전 국민을 대상으로 AI 기본 소양 교육을 추진한다.
AI 신기술 확보와 제도 기반 정비도 힘쓴다. 정부는 ‘신개념 AI 반도체(PIM) 핵심기술개발’과 ‘차세대 AI 개발’ 등 대형 프로젝트를 추진해 기술력을 높일 방침이다. 신개념 AI 반도체(PIM) 핵심기술개발을 위해 정부는 2022∼2028년 9924억 원 규모의 R&D 사업 예비타당성 조사를 추진할 계획이다. 차세대 AI 개발을 위해서는 2022∼2026년 9286억 원 규모의 R&D 사업 예비타당성 조사를 추진한다.
디지털 정부 추진을 위해 2025년까지 공공기관 전체 시스템을 클라우드로 전환한다. AI를 투명하고 가치중립적으로 개발ㆍ활용할 수 있도록 12월 중으로 ‘AI 윤리기준’을 마련하고, ‘AI 법ㆍ제도 정비 로드맵’을 수립해 AI 산업 활용 확산에 대비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