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연구원은 12일 'KERI 경제동향과 전망: 2020년 2/4분기' 보고서를 내고 올해 경제성장률을 -2.3%로 전망했다.
한경연은 한국 경제가 연내에 경기반등을 이루기는 힘들 것으로 내다봤다.
올해 경제성장률은 3월 전망치와 같은 –2.3%를 유지했다. 상반기 성장률은 –1.7% 하반기는 이보다 더 낮은 –2.9%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측했다.
대내적으로는 경제 여건의 부실화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장기화, 대외적으로는 미국, 중국 등 주요국의 예상보다 심각한 경기둔화와 경기 회복 지연 등으로 경기침체 흐름을 전환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분석이다.
한경연은 코로나19 상황의 종결시점, 주요국의 경기반등 시기와 속도, 정부대응의 실효성 여부 등이 경기회복 진입 속도를 좌우할 것으로 내다봤다.
민간소비는 –3.7% 역성장하며 상당기간 심각한 부진을 면치 못할 것으로 전망했다.
긴급재난지원금 등 정부의 소비부양 효과가 기업실적부진으로 명목임금상승률 하락, 소비활동의 물리적 제약, 전염병에 대한 불안감으로 바닥에 이른 소비심리 등으로 인한 하방압력을 상쇄하기에는 역부족이라고 진단했다.
가계부채원리금 상환부담과 실업률 증가 등 구조적 원인도 민간소비 하락을 가속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미 마이너스(-) 성장을 이어온 설비투자는 내수침체와 주요 수출대상국의 경기 위축으로 -18.7%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건설투자는 공사차질과 정부의 부동산 억제정책으로 감소폭이 -13.5%에 이를 것이라고 밝혔다.
실질수출도 세계경제의 경기위축이 예상보다 심각하고, 무역갈등의 재점화 가능성도 현실화하며 –2.2%의 역성장을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한경연은 대내적으로는 코로나19 감염자 재확산, 기업실적 악화로 인한 대량실업 발생가능성을, 대외적으로는 주요국의 극심한 실적부진과 경기회복 지연, 반도체단가 상승폭 제한, GVC(글로벌 밸류 체인) 약화 등이 성장의 하방위험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작년보다 0.1%포인트(P) 낮은 0.3%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극심한 경기침체에 따른 수요압력 부재, 서비스 업황부진, 가계부채와 고령화 등 구조적 원인이 물가상승에 대한 하방압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했다.
경상수지는 글로벌 경기위축으로 상품수지 흑자폭이 크게 줄어드는 가운데 서비스수지의 적자 기조가 이어지면서 전년보다 90억 달러 줄어든 510억 달러 수준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한경연 관계자는 "코로나19 충격으로 우리 경제 뿐만 아니라 글로벌 경제 역시 극심한 위축이 불가피한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앞으로 경제정책은 단기적 경기반등 효과에 집착해 국가재정을 일시에 소진하기보다는 장기 침체기로의 본격적 진입가능성에 대비하는 한편, 코로나19 이후 도래할 경제환경 변화에 유연하게 대비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