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이달 들어 성사된 서울의 전세계약은 2255건으로 집계됐다. 작년 1월 1만1641건과 비교하면 5분의 1 수준으로 감소한 것이다. 2년 전인 2018년 1월 거래된 1만26건과 비교해도 이달 거래 규모는 한참 못 미친다.
전세는 일반적으로 2년으로 체결된다. 2년이 된 시점에 최초 계약 때와 같은 조건으로 계약을 연장하는 묵시적 갱신이 아닌 이상 전셋값은 조정된다. 전셋값이 오르는 시기엔 보증금이 증가하는 경우가 태반이다.
문제는 최근에 서울 강남의 전셋값이 교육제도, 부동산 대책 등의 영향으로 상승세를 보이면서 기존 세입자들의 상황이 어려워졌다는 점이다.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 도입 후 청약시장에 뛰어들려는 청약 대기자들로 전세시장의 수요는 공급보다 이미 더 커졌다. 여기에 자율형사립고 폐지 등 교육 정책 변화로 학군이 우수하다고 평가받는 강남으로 전세수요가 대거 몰렸고, 지난해 12·16 부동산 대책으로 아파트 매입 통로가 좁아져 전세를 찾는 수요층이 더 두터워진 것이다.
강남구 대치동 D 공인중개사 관계자는 “매물은 없고 전세 찾는 분들은 계속 있다”며 “대치아이파크는 겨울 시즌에 가격이 높은 편인데 전용 84㎡의 경우 최근 전셋값이 14억 원까지도 호가가 나왔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전세 매물 품귀 현상이 지속하면서 전셋값은 오를 수밖에 없다고 전망한다.
이상우 인베이드투자자문 대표는 “전세를 구하는 사람들도 새 집을 선호하는데 새 아파트가 부족한 상황인 만큼 전셋값은 오를 수밖에 없다”며 “새 집 전세값이 오르면 구축 주택의 전셋값도 따라 오른다”고 설명했다. 이어 “전·월세 거주기간을 4년으로 보장하는 계약갱신청구권제가 도입되면 전셋값은 지금보다 더 오를 수 있다”며 “제도 핵심이 거주기간 연장이지 전셋값을 올리지 말라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