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의지는 그 어느때 보다 굳건하다. 이날 축사를 마치고 박람회 현장을 순시한 신제윤 금융위원장은 여신 상담을 하고 있는 금융사 직원들에게 “한국에서도 중국의 알리바바와 같은 성공 신화를 충분히 쓸 수 있다”며“금융사 관계자분들은 오늘 설명회를 실시하는 기업들이 15년 후 알리바바가 될 수 있다는 생각으로 적극 임해 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금융권도 정부의 의지에 공감하며 상품 개발, 조직 정비 등 다양한 노력을 병행하고 있다. 식전행사를 마치고 IBK기업은행 부스를 찾은 권선주 행장은 “기술력을 갖춘 기업들이 금융지원을 받는데, 어려움이 없도록 기업은행이 나서겠다”고 말하고 상담직원들에게“상담에 적극 임해달라”라고 독려했다.
◇‘돈 물꼬’트도록 규제 전면 개편 = 올 초부터 기술평가기관(TCB) 설립을 논의해 온 정부는 지난 6월부터 은행들이 기업에 대출을 하거나 정책금융공사의 온렌딩을 이용할 경우 기술신용정보를 활용토록 의무화 했다.
산업은행과 기업은행이 각각 500억원 규모의 기술신용정보 기반 신용대출 상품을 출시했으며 기존 기술우대 상품에도 기술신용정보를 활용할 예정이다.
정부는 올 하반기에만 7500여개의 중소기업이 4조7000억원에 달하는 지원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더욱이 정부는 기술금융 활성화를 위해 숨은 규제까지 걷어냈다. 기술력을 갖춘 고등학생도 최대 3억원까지 창업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창업지원 연령을 낮추고 지식재산보증 지원 대상 제한도 폐지했다.
기술우수창업자에 대해서는 연대보증도 면제하고지식 재산권 담보대출 지원한도도 현행 20억에서 50억으로 확대했다.
또 보수적 금융문화 개선 기술금융 종합상황판을 만들어 은행별 실적을 주기적으로 공개하고 기술금융 혁신평가(TECH)를 통해 대출실적이 우수한 금융기관들에게는 파격적인 인센티브도 제공할 방침이다.
신 위원장은 “올해 하반기가 우리나라 금융산업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기술금융의 원년이 될 것”이라며 “기술평가시스템을 토대로 기술력 있는 기업이 창업·성장·재기의 전 과정에서 금융이 원활이 공급될 수 있도록 규제관행도 개선했다”고 말했다.
◇금융권, 기업 생애주기별 맞춤형 지원 = 기업들이 기술금융 지원을 받는 방법은 간단하다. 기업이 보유한 기술력이 뛰어나다고 판단되면 거래 은행으로 가 대출신청을 하면된다. 그럼 은행에서는 기술력에 대한 가치를 따져본 뒤 TCB에 기술평가 의뢰를 한다. 의뢰를 받은 TCB는 실사를 통해 평가서를 은행에 제출한다. 은행은 자체 프로세스를 통해 신용등급, 기술등급, 기술신용등급을 매기고 대출 여부와 한도액을 결정한다. 지난 7월부터 8월까지 두달간 TCB의 평가에 기반한 대출은 총 1658건, 1조1300억원이 진행됐다.
그렇다면 은행들은 어떤 상품과 지원을 마련하고 있을까. 우선 신한은행은 3단계 전략방안(기술금융역량 기반, 인프라구축, 기술금융 가치창출)으로 이어지는 기술금융 중장기 로드맵에 맞춰 체계적인 전략 마련에 나서고 있다.
우리은행은 최근 한국생산기술연구원와 우수 기술 사업화 지원 업무 협약을 맺는 등 우수 기술력을 보유한 성장 지원 형성에 앞장서고 있다. KB국민은행의 경우 중소, 소상공인 자금지원 규모를 25조원으로 확대했다. 전문적인 상담을 위해 이공계 출신 변리사 및 석, 박사급 전문 인력을 다수 채용해 지식, 기술가치 평가 및 지원 전담조직까지 신설했다.
대출 실적이 가장 우수한 IBK기업은행은 기술금융 조직운영과 실제 지원까지 적극적인 움직임으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특허청과의 업무협약으로 지난 4월 시중은행 최초로 출시한 IP사업화자금대출은 이 달 중 1차 한도(500억원) 조기 소진이 예상된다.
하나금융그룹은 중소기업대출 상품, 상생벤처펀드 조성, 기술신용평가 활성화 등을 통해 창조금융을 지원하고 있고 NH농협은행은 오는 2017년 말까지 중소기업 여신을 최대 66조원으로 늘리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