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보건연구원은 22일 보건연구원과 포항공대 공동연구팀이 에이즈 완치를 위한 후성유전체 데이터베이스(DB) 구축을 했다고 밝혔다.
보건연구원에 따르면 최병선 박사 연구팀과 포항공대 노태영 교수 연구팀이 에이즈바이러스(HIV) 잠복 감염 세포주(연구를 위해 일반세포에 HIV를 잠복감염 시킨 세포) 유전체 전체를 대상으로 후성유전체 DB를 확립했다.
후성유전은 유전자 염기서열 자체에는 변화 없이 환경, 습관, 바이러스 감염 등의 후천적인 요인에 의해 유전정보가 다르게 발현되는 현상을 말하며 후성유전체는 이 같은 후성유전이 일어나는 유전자 전체를 의미한다.
그동안 사람이 HIV에 감염되더라도 HIV저장소에 잠복 감염상태로 숨어있게 되면 치료제나 면역세포의 공격을 회피하기 때문에 에이즈 치료가 어려웠다.
이에 따라 이번 연구로 에이즈 완치의 가장 큰 걸림돌인 HIV 저장소를 제거해 에이즈의 완전한 치료를 위한 기반을 마련하게 됐다.
국립보건연구원은 "DB는 히스톤(유전자와 결합하는 주요단백질) 변형을 확인할 수 있는 정보를 분석해 HIV저장소에 HIV가 감염되어 다르게 표시된 유전자 11개를 찾아냈다"며 "발견한 유전자를 이용, 해당 저장소를 제거함으로써 에이즈 완치를 기대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