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채용 과정이 스펙보다는 지원자들의 실무 역량을 판단할 수 있는 스토리 중심 채용이 확산하면서 자신의 경력 사항을 허위로 게재하는 경우가 빈번해 기업들이 애를 먹고 있다.
포트폴리오 SNS 웰던투(Welldone.to)와 잡코리아가 기업 채용담당자 592명을 대상으로 ‘채용 프로세스 현황’에 대해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이들 중 25.3%가 ‘채용 과정에서 입사지원자의 허위 정보 게재로 인해 입사를 취소했던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기업 형태별로는 외국계 기업이 41.2%로 가장 높았으며 △국내 중견기업 38.9% △공기업 및 공공기관 37.5% △국내 대기업 30.6% △중소기업 19.5% 등의 순이었다.
업종별로는 △전기·전자업종이 41.7%로 가장 높았으며, 이외에 △건설·자동차·기계·철강업 38.3% △금융업 33.3% 등도 높았다.
특히 입사 취소를 결정했던 지원자의 허위 정보로는 경력사항이 응답률 39.3%(복수선택)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학력 28.0% △어학점수 26.0% △출신학교 21.3% △전공 17.3% 등이 뒤를 이었다. 이외에 △질병 및 건강상태 △자격증 △신용 및 채무 문제가 각각 14.0%를 차지했다.
이런 입사 지원자들의 허위 정보 게재 방지를 위해 기업에서 별도로 도입하고 있는 프로세스가 있는지 물은 결과 △인적성 검사를 강화하고 있다는 기업이 26.2%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면접 횟수를 늘린다 18.1% △신원조회를 하고 있다 11.3% △평판조회를 하고 있다 10.0% △출신학교 조회를 하고 있다 5.4% 등이 순이었다.
반면 아무런 프로세스가 없다는 기업도 27.9%로 10개사 중 3개사 정도에 달했다.
‘블랙 지원자’로 골탕을 먹은 기업들은 정식 채용 전 수습 등 유예기간을 두는 것으로 이를 해결하고 있다. 온라인 취업 포털 사람인이 기업 326개사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 따르면 60.7%가 ‘유예기간이 있다’라고 답했다.
유예기간을 두는 이유로는 ‘역량을 검증할 시간이 필요해서’(53.5%, 복수응답)를 가장 많이 선택했다. 다음으로 ‘직무에 적응할 시간을 주기 위해서’(46.5%), ‘조직 적응력이 있는지 보기 위해서’(46%), ‘조기이탈로 인한 피해를 막기 위해서’(33.8%), ‘근속의지를 확인하기 위해서’(30.8%), ‘성격 등의 결함이 없는지 보기 위해서’(23.7%) 등의 이유를 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