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은 소유일까? 내 품에 움켜쥐고 있어야 그것이 사랑일까?” 요사이 인기를 끌고 있는 ‘썸’이란 노래를 들어보면 사랑은 꼭 소유로 귀결하지는 않는 듯 하다.
자동차 문화에서도 소유가 아닌 공유의 바람이 확산되고 있다. 바로 ‘카셰어링(Car-sharing)’이다. 카셰어링은 시간 단위로 차를 빌려 탈 수 있는 서비스를 뜻한다. 하루 단위로 차를 빌리는 렌터카보다 더 저렴하다.
최근 카셰어링의 성장은 폭발적이다. 국내 최대 카셰어링 업체 그린카의 지난해 이용자는 16만6600여명이었다. 올해는 이보다 80.1% 증가한 30만명에 달할 것으로 업체 측은 기대하고 있다. 벤처자본으로 성장한 쏘카의 회원수는 지난해 말 5만명이었지만 올해 6월 말 기준 15만명으로 반 년사이 200% 성장했다.
카셰어링이 전기자동차의 성장 발판이 될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다. 현재 전기차는 충전소 부족과 비싼 가격이 가장 큰 난제다. 카셰어링이 공유의 개념으로 전기차 구입 부담을 낮추고 주차 인프라 확대로 충전소 부족을 해결한다면 이는 전기차의 빠른 성장으로 이어질 수 있다.
카셰어링은 성장할 만한 많은 장점을 갖추고 있다. 도심 인근이라면 어디서나 차를 빌릴 수 있다. 두 시간 동안의 이용금액은 2만원이 채 안된다.
카셰어링 이용자 최진우(38)씨는 “집 근처에서 차를 빌릴 수 있어 편리하다”며 “일주일에 한, 두번 자동차를 이용하기 때문에 굳이 값비싼 자동차를 구입한 뒤 세금을 내면서 유지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다”고 말했다.
카셰어링 확대는 취업난과 함께 내집마련이 어려워지면서 20~30대의 구매력이 떨어지는 것도 배경으로 꼽히고 있다. 직장인 홍기훈(33)씨는 “결혼을 앞두고 가장 많은 돈이 드는 것은 결국 살 곳을 마련하는 곳”이라며 “이 때문에 차를 구입하는 데 돈을 지출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카셰어링 확대를 위해 지방자치단체가 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공유 주차장 확보는 카셰어링 업체가 혼자 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또 지자체의 보조금이 투입되면 이용금액을 크게 낮출 수 있을 것으로 업계는 전망하고 있다.
물론 카셰어링이 확대가 누구에게나 좋은 것은 아니다. 신차를 팔아야 하는 완성차업체게는 반갑지 만은 않은 일이다. ‘내 첫 차’, ‘내 차’와 같은 소유의 개념을 주된 홍보 문구로 활용하는 완성차업체에게 차량의 공유는 날벼락일 수 밖에 없다.
물론, 아직 국내에서는 걱정할 정도는 아니다. 그러나 일본만 봐도 상황은 다르다. 일본에서는 이미 2000년대 후반부터 20~30대가 차를 구입하지 않는 것이 완성차 업체의 심각한 고민으로 대두되고 있다. 토요타는 이에 따라 청년들의 운전면허취득을 지원하는 정책을 펴고 있다.
과거 대형세단은 신분 상승의 상징이었다. 1990년대만 해도 대형세단을 아파트 주차장의 이웃 주민 앞에서 세차하는 기쁨은 누린 이들이 얼마나 많았던가.
탈 때는 내 차처럼, 돌려줄 때는 네 차처럼. 함께 쓰고 나누는 새로운 트렌드가 우리나라 자동차 문화를 어떻게 변화시킬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