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 의원은 집권여당의 전 대표를 국무위원으로 임명하는 일이 당·청 간 수평적 관계를 깨는 것이 아니냐는 질문에 “그 점을 걱정했다”면서도 “자리 신분 지위보다 무슨 일을 하느냐가 굉장히 중요시한다. 그렇기 때문에 그런 상대적 비교를 하면 공무를 수행할 수 없다”며 이 같이 주장했다.
현재 시급한 현안으로 “아직도 세월호 실종 학생들이 있고 교사도 계시고 희생된 학생들에 대한 가족들의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기 때문에 저로써는 교육부 장관에 임명된다면 그것이 급선무”라고 강조했다. 이어 “다시는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전반적인 안전과 과연 내 아이를 학교에 보내도 안전할까, 안심할 수 있을까 국민들의 응어리 아직까지 풀지 못한 숙제를 푸는 것이 장관으로서 숙제”라고 언급했다.
교육 분야에 전문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교육계에 몸담고 교사나 교수를 하지는 않았다”고 인정하면서도 “국회 들어와서 제가 18년 일했는데 2~3년 제외하고 교육위원회에 있어서 13~14년 교육위원으로서 교육 문제만 접했기 때문에 그런 점에서 교육을 한시도 손에서 놓은 적이 없었다”고 자신했다.
황 의원은 사회부총리 역할을 묻는 질문에 아직 정부조직법이 개정되지 않아 교육부 장관에 집중하고 있다면서도 “독자적인 영역이 있기 때문에 차분히 하다보면 대통령 중심으로 하면 정부와 조화되는 여러 일이 있을 것”이라며 “사회부총리 역할은 갈등 해소 체계만 잘 잡아도 GDP가 오른다는 목소리가 있다. 정무 경험이라든지 교육계 꼼짝 안 하고 있는 역할보다도 좀 더 활성화된 역할을 할 수 있지 않을까”라고 기대감을 나타냈다.
6·4 지방선거에서 진보 교육감이 대거 당선돼 보수적인 교육부 장관과 충돌할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해서는 “교육위원장 당시 야당 의원들은 정말 굉장히 열의에 꽉 차 있었다”며 “몇 가지 법안에서 충돌이 된 것 외에 나름대로 결실 맺었던 경험 있다”고 불식시켰다.
황 의원은 “교육은 그래서 걱정하셨듯이 정치 이념에 휘둘리는 것 자체가 교육에 위험시된다”며 “교육계 내에서 진보 보수 좌우 모든 세력들이 공통적으로 인지해야 할 가치가 있기 때문에 의견이 일치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한편 황 의원은 곧바로 청문회 준비에 들어간다면서 “그동안 제가 오랫동안 교육위에 있으면서 제가 체득한 바 정리하면서 많은 전문가들과 의견 나누면서 준비하겠다”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