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슷한 시기 한국, 또다시 소 잃고 외양간을 고치기가 시작됐다. 세월호 침몰 사고 이후 대한민국 정부와 부처를 비롯해 기업들은 안전관리 강화 대책을 연이어 발표했다. 기업들은 ‘얼마를 들여 투자하겠다’, ‘이러 이러한 안전 프로그램을 마련했다’, ‘안전관리 인력을 이만큼 늘렸다’ 등의 보도자료를 홍수처럼 쏟아냈다.
현대중공업그룹은 총 3000억원의 예산을 안전경영에 투입하겠다고 밝혔고, 대우조선해양과 롯데그룹은 특별 안전 점검을 벌였다. 이밖에 삼성전자와 LG전자, 현대기아차 등 수많은 대기업이 안전 매뉴얼을 강화하고 있다.
지난 19일 박근혜 대통령이 세월호 참사와 관련한 대국민 담화문을 발표한 이후, 재계는 한 차례 더 큰 안전 강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전경련은 논평을 내고 ‘안전 대한민국 건설’에 동참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대한상의는 박 대통령 담화 발표 다음날 ‘안전(安全) 대한민국 건설을 위한 경제5단체장 회의’를 발 빠르게 열었다.
이같은 재계의 움직임은 충분히 환영할 만한 일이다. 그럼에도 ‘이러다 잠잠해지겠지’하는 우려 섞인 걱정도 나온다. 중요한 것은 이 의지가 얼마나 실천되고 지속될 수 있는가다.
앞서 언급한 GM뿐만이 아니라 국내 다수의 기업은 수많은 안전사고로 경영적 리스크를 감수해야 했다. 사업장 운영이 중단되고, 법적인 제재를 받았고, 기업 이미지 하락과 함께 주가가 떨어지기도 했다. 사고조사나 후속대책 마련, 인력상실로 생산성이 떨어진 것도 물론이다. 경제학적인 면을 떠나서도 안전한 작업장의 중요성은 백번 강조해도 부족하다. 앞으로의 산업계 기사에는 ‘역시나’, ‘또’, ‘정신 못 차린’과 같은 수식어가 등장하지 않길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