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우리나라의 성장률이 3%대를 넘어섰다. 이는 당초 예상을 웃도는 것이다. 또 1인당 국민소득은 2만6000달러를 넘어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한국은행이 26일 발표한 ‘2013년 국민계정(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전년(2.3%)보다 높아진 3.0% 성장을 기록했다. 설비투자가 부진했지만 민간소비가 꾸준히 늘어나는 가운데 건설과 수출의 견조한 증가세가 이어졌기 때문이라고 한은은 설명했다. 원·달러 환율이 하락(연평균 2.8%)한 점도 영향을 미쳤다.
생산 측면에서는 서비스업이 2012년과 비슷한 성장을 보였고 제조업 증가율은 큰 폭으로 확대됐다. 분기별로는 지난해 1분기 성장률이 전기 대비 0.6%, 2분기가 1.0%, 3분기와 4분기가 각각 1.1%와 0.9%를 기록해 3분기까지 성장세가 확대되는 모습을 보였다. 다만 4분기에는 건설투자 부진으로 성장세가 다소 둔화했다.
지난해 1인당 국민총소득(GNI)은 2만6205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보다 1509달러 늘어난 규모로 사상 최대다. 2007년 2만 달러에 진입한 1인당 국민소득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다시 1만 달러대로 떨어졌다가 반등했다. 이후 2011년 2만4302달러에서 2012년 2만4696달러로 394달러 늘어나는 등 증가폭이 둔화됐다.
물가 등을 감안한 국민소득의 실질 구매력을 나타내는 지표인 실질 GNI는 전년 대비 4.0% 증가했다. 또 1인당 가계총처분가능소득(PGDI)은 1만4690달러로 전년 대비 1020달러 늘었다. PGDI는 가계 및 가계에 봉사하는 민간비영리단체의 소득 합계이며 제한적이나마 가계의 구매력을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된다.
지난해 총저축률은 34.4%로 전년에 비해 0.2%포인트 상승했다. 반면 국내총투자율은 28.8%로 전년 대비 2.0%포인트 낮아졌다.
민간부문의 총저축률은 27.7%로 전년보다 1.1%포인트 높아졌지만 정부부문은 전년보다 0.8%포인트 낮아진 6.8%를 기록했다. 가계(가계에 봉사하는 비영리단체 포함) 순저축률은 4.5%로 전년에 비해 1.1%포인트 상승했다. GDP 디플레이터 상승률은 전년보다 0.3%포인트 낮은 7%를 기록했다.
산업별로는 2010년 이후 계속 마이너스 증가율을 보여온 건설업이 지난해 3.6% 성장했다. 이는 주거용 건물의 건설 성장세가 확대되고 교통시설 건설이 늘어난 덕분으로 풀이된다.
제조업 성장률은 2012년 2.4%에서 지난해 3.3%로 확대됐고 서비스업도 부동산 및 임대업의 플러스 성장 전환과 사업서비스 부문의 약진에 힘입어 같은 기간 성장률이 2.8%에서 2.9%로 다소 높아졌다.
지난해 민간소비는 전년보다 2.0% 증가했으며 건설투자는 2012년 3.9% 감소에서 지난해 6.7% 증가로 개선됐다. 반면 설비투자는 2012년 0.1% 증가에 그친 데 이어 지난해는 1.5% 감소했다.
정영택 한은 경제통계국장은 “연구개발(R&D)이 부가가치 항목으로 처리되면서 명목GDP가 7.8%늘었다”며 “R&D 부문 기여도 3.6%포인트를 포함해 2008 SNA 이행이 5.1%포인트 영향을 미쳤고 센서스 등 기초 자료가 늘어난 점이 2.7%포인트 영향을 줬다”고 설명했다.
한편 한은이 이날 발표한 국민계정은 새로운 국제기준의 이행 등 제11차 국민계정 기준년을 2005년에서 2010년으로 개편한 결과를 반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