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모가 크고 오래된 산업단지부터 리모델링에 들어갈 생각입니다.”(2013년 11월 강남훈 산업단지공단 이사장 첫 기자간담회)
올해는 국가 경제의 버팀목이 되고 있는 산업단지공단 조성 50주년이다. 지난 1964년 구로, 부평, 주안, 남동, 북평단지를 시작으로 산업단지는 한국 경제성장의 밑거름 역할을 묵묵히 해왔다. 음식료, 섬유의복, 목재종이, 석유화학, 전기전자 등 다양한 업종이 산업단지에서 기틀을 다졌으며 세계 시장으로 향하고 있다.
산업단지는 이제 반세기 동안의 희로애락을 뒤로하고 새로운 미래를 위해 변화를 준비하고 있다. 노후된 시설은 재정비하고, 기업인에게는 사업 하기 좋은 공간을, 근로자에게는 일하고 싶은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해 다각도의 방안을 모색 중이다.
이 같은 통계는 현장 기업인들이 갖고 있는 고민과 일맥상통한다. 산업단지공단는 지난해(11월 말 기준) 현장방문, 간담회를 포함한 여러 창구를 통해 2420건의 산업단지 애로사항을 발굴했다. 이 가운데 ‘공장 설립 관련 입지’ 문제점이 16%로 가장 많았다. 이어 ‘기술’(10)%, ‘경영’(9%), ‘마케팅’(9%) 순으로 나타났다. 기존 기술집약적 산업이 주를 이뤘던 산업단지가 융복합 산업, 고기술고부가가치 중심의 새로운 산업구조 변화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
산단공은 지난해 실시한 창조경제포럼을 통해 현장의 문제점을 청취한 결과 “입주기업의 절반 이상이 전통 제조업(72%) 중심으로 구성돼 있고, 지식기반산업(전자정보기기, 반도체, 메카트로닉스, 정밀화학, 신소재, 항공우주)의 비중(27%)은 낮다”고 분석했다.
뿐만 아니라 반월시화, 남동, 구미 4개 노후산단의 경우 부가가치율이 2006년 40.4%에서 2011년 35.4%로 5%포인트나 하락했다고 우려했다. 이는 같은 기간 전국 제조업 수치인 35.5%→32.2%(3.3%포인트↓)보다 높은 수준이기 때문.
이 밖에 산업단지 노후화의 연장선으로 고학력층과 청년층 기피현상이 고착화되고 있는 고용 문제도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산단공은 “제조생산 중심의 환경으로 인해 청년 근로자 삶의 질 향상에 맞는 교육문화복지와 관련된 시설이 부족한 것이 주요 원인”이라면서 “특히 산업단지 내 중소제조업의 기술직연구개발 인력부족이 심각해 신기술 개발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고 지적했다.
◇2017년까지 25개 단지 리모델링 추진 = 산업단지의 ‘제2의 도약’을 위해 산업통상자원부는 오는 2017년까지 25개 산업단지 리모델링을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산업단지공단 역시 현장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활동을 본격적으로 서두르고 있다.
지난해에는 산업단지 내 여성 인력 비율이 최대 30%를 차지했으나 직장과 육아를 병행하기 어려워 퇴직하는 사례가 많아 대책이 필요하다는 의견에 보육시설을 확충하는 기반을 마련했다. 직장형 보육시설 건물매입비 지원을 위해 건물매입비를 포함해 최대 6억원을 지원하는가 하면, 24시간 어린이집 운영 활성화 등을 추진했다.
산업부는 올해 6월 ‘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산집법),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산입법) 개정을 통해 산업지원공공시설의 복합이 가능한 ‘복합용지’ 지역을 산업단지에 도입할 계획이다.
또한 산업단지 내 입주 가능한 서비스 업종을 확대해 업종 간 융합을 이끌어낼 방침이다. 기존 지식산업, 문화산업, 정보통신산업 등 10개 업종에서 전기통신서비스업, 운송장비 임대업, 인력공급 및 고용알선업 등 12개 업종을 추가할 계획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노후 산단에 대해 부처 간 협업을 통해 대안을 마련해 가고 있으며 산업단지 혁신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