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경제산업성에 따르면 일본의 간호·복지 로봇 시장은 오는 2015년 167억 엔(약 1770억원), 2035년에는 4043억 엔까지 확대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해당 시장 형성에 필요한 제반 정비도 이뤄지고 있다.
일본 정부는 간호·복지 로봇 중 △이승(移乘)지원 △이동지원 △배설지원 △치매지원 등 네 가지를 중점 분야로 정하고, 5~8월 개발보조 사업자를 선정해 총 48건을 로봇 간호 기기 개발·도입 촉진 사업으로 인정했다. 이 가운데는 설립한 지 얼마 안 되는 벤처기업에서부터 토요타자동차, 파나소닉, 샤프 같은 대기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기업들이 참여했다.
하지만 이 같은 노력들을 지속적으로 이어가는 데 있어 일본은 근본적 문제를 안고 있다. 9월 총무성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3186만명에 이르며, 총인구에서 차지하는 노인인구 비율은 25%였다. 노인 인구 및 비율은 모두 사상 최고 수준이며, 2020년에는 총인구에서 차지하는 노인 인구 비율이 30%를 넘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현재 일본 내 개호시설(한국의 요양시설에 해당)은 약 1만2000곳, 개호 분야 종사자는 약 150만명으로 추정된다. 더 나아가 2025년에는 개호 분야 종사자 250만명을 필요로 하게 된다. 현재보다 100만명 부족해지는 셈이다. 이 같은 인력난을 어느 정도 해결해 줄 것으로 기대되는 것이 간호로봇이다.
문제는 현재 상황이 녹록지 않다는 것이다. 제품 가격이 높고 명확한 안전 기준이 없기 때문이다. 또 환자를 돌보는 데는 사람의 정성이 느껴져야 한다는 인식이 뿌리 깊게 자리하고 있는 등 로봇 이용에 대한 저항감이 만만치 않다는 것도 문제다.
하지만 이 같은 인식을 바꿀 만한 획기적 대안이 마련되고 있다. 우선, 2015년부터 개호보험 대상이 확대돼 우량 간호로봇 도입에도 보험이 적용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지고 있다. 이는 비용 절감으로 연결될 가능성이 크다는 의미다.
특히 간호로봇 이용료의 80~90%를 보조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이는 간호로봇의 도입을 가속화하는 기폭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경제산업성을 중심으로 안전기준을 마련하고 있는 만큼 이르면 2013년 안에 안전기준 초안이 발표될 전망이다.
로봇에 대한 저항감도 어느 정도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 일본 내각부가 지난 9월 실시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간호를 하는 사람의 59.8%, 간호를 받는 사람의 65.1%가 로봇을 이용하고 싶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간호 종사자 입장에서 부담이 줄어드는 한편, 간호를 받는 사람에게도 로봇에 대한 거부감을 줄이는 등 간호로봇 도입에 일조할 것으로 보인다.
간호로봇의 보급은 전자 디바이스의 수요 증가로도 이어진다. 로봇은 입력장치로 시각 및 촉각 등 사람의 오감을 대신할 수 있는 센서가 필수다. 압력, 적외선, 초음파, 각속도 센서 등 로봇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조합이 이뤄진다.
일본 도카이고무공업이 이화학연구소와 공동으로 개발 중인 간호로봇의 경우 양팔에 총 200개 이상의 촉각센서가 탑재돼 있다. 로봇은 사보모터와 액추에이터의 구동에 민감한 제어가 요구되기 때문에 파워 반도체가 필수이며, 실리콘카바이드(SiC)와 질화칼륨(GaN) 등 차세대 디바이스를 탑재하는 기기로도 주목받게 된다.
향후 과제는 역시 비용이다. 개호보험 적용에 의해 도입 비용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지만 이승지원, 이동지원, 배설지원, 치매지원 등에 도입하는 경우와 향후 수출품으로 봤을 때는 비용을 한층 더 낮춰야 한다.
또 한 가지 과제는 현재 로봇 제품은 단일 기능밖에 없다는 점이다. 따라서 앞으로는 기기 한 대로 다양한 기능을 가진 로봇의 수요가 확대할 것으로 전망, 복수의 기능을 갖추고도 비용은 더 낮아져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