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정부에 등록된 민간·관용 헬기는 모두 183기(군 헬기 제외)로 5년 전인 2008년(156기)보다 17.3%(27기) 늘었다. 소방방재청·산림청 등 국가기관 헬기를 뺀 민간 헬기 수는 현재 109대로 9년 전인 2004년(68기)보다 60.3%(41기) 증가했다.
사고도 늘어나 최근 10년간 발생한 항공기 사고 43건 중 절반이 넘는 22건이 헬기사고였다. 또 사망 사고 14건 중 86%인 13건이 헬기 사고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큰 문제는 민간 헬기가 정부 관리에서 벗어나 있다는 점이다. 특히 일반 손님을 태우는 헬기운송 사업자에게는 ‘운항 증명제’(조종사 등 인력과 시설, 장비의 정비 체계 등을 항공당국이 지속적으로 감독하는 제도)가 적용되는 반면 기업들이 보유한 자가용 헬기에는 적용되지 않고 있다.
한 항공 전문가는 “우리나라뿐 아니라 국제적으로도 자가용 항공기에 대해서는 별다른 규제가 없다”고 말했다.
조종사 관리도 소홀하다는 지적이다. 비행기 기장들은 1년에 한 번씩 국토부 장관이 정하는 지식 및 조종기술 등을 구술·필기 및 실기시험을 통해 검증을 받아야 하나, 헬기 조종사에 대해서는 이 같은 규정이 없다.
서울시내 초고층 빌딩이 무수히 자리잡고 있다는 점도 비슷한 사고가 재발할 수 있다는 불안감을 높이고 있다.
현재 서울시에는 30층 이상 고층 건물이 322개가 있고, 50층 이상 초고층 건물도 16곳에 달한다. 특히 이번 사고가 일어난 삼성동 아이파크와 멀지 않은 곳에 건립 중인 ‘제2롯데월드(잠실 롯데슈퍼타워)’의 안전성 논란도 재점화되고 있다.
세계에서 여섯번째로 높은 123층(555m) 높이의 잠실 롯데슈퍼타워는 2015년 완공을 앞두고 있다. 지난 2010년 6월 서울시 건축위원회를 통과한 데 이어 그해 11월 송파구에서도 건축허가를 받았다. 하지만 아직까지도 상당수 전문가들은 비행사고 안전성에 대해 우려를 제기하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정부와 서울시는 부랴부랴 사태 수습 및 헬기 안전관리 강화에 나섰다.
국토부는 헬기 보유 업체 33곳을 대상으로 특별 안전점검을 실시한다. 또한 오는 27일로 예정된 헬기사고 관련 공청회에서 나온 의견과 이번에 실시하는 특별 안전점검을 토대로 헬기 안전종합대책을 내놓을 방침이다.
서울시는 사고의 재발을 막기 위해 연말까지 항공장애가 되는 시내 고층건물을 전수조사하기로 했다. 서울지방항공청과 함께 항공장애가 되는 고층건물 159곳을 점검하고 헬기장·건물 옥상 헬리포트 등 488곳의 관리 실태도 확인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