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값 어디로...“믿을 건 중국뿐”

입력 2013-11-11 16:2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글로벌 금값 올들어 23% 하락…상하이에 2000t 규모 금괴금고 개설 등 중국 수요 지속 기대는 높아

▲뉴욕상업거래소(NYMEX) 금값 추이 9일(현지시간) 종가 온스당 1284.60달러 출처 마켓워치

글로벌 금 시장이 휘청거리는 가운데 중국의 금 수요는 이어질 전망이다.

홍콩 소재 금과 귀금속 보관ㆍ수송 전문업체인 말카-아미트글로벌이 이달 중국 상하이 자유무역시험구 내에 2000t의 금괴를 저장할 수 있는 금고를 개설했다고 11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이 보도했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 COMEX 부문에서 지난 9일 12월 인도분 금 가격은 전 거래일 대비 1.8% 하락한 온스당 1284.60달러로 지난달 16일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 Fed)의 출구전략 우려에 금값은 올들어 23% 떨어지면서 13년래 첫 하락세를 향해 나아가고 있다.

그럼에도 말카-아미트는 중국의 연간 금 소비량의 두 배 이상에 이르는 규모의 금괴창고를 열어 업계의 관심을 끌고 있다. 이 금괴창고가 보관하는 금 규모는 가격으로 따지면 827억 달러(약 88조2100억원)에 달한다고 통신은 전했다.

말카-아미트는 중국의 금 수요 증가에 베팅하고 있다는 평가다.

세계금협회(WGC)에 따르면 중국의 올해 금 수요는 전년보다 29% 늘어난 1000t으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하며 인도를 누르고 세계 최대 금 소비국으로 부상할 전망이다. 업계 관계자들은 국제 금값의 하락세와 주민 소득증가가 중국의 금 수요를 촉진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필립 클랩위즈크 프레셔스메털인사이트 전무이사는 “이런 시설(금괴창고)은 중국 금 시장의 성장에 크게 표를 던진 것”이라며 “중국의 금 수요는 매우 강력하다”고 말했다.

아울러 상하이 자유무역구 내에 금괴창고가 개설됐다는 의미는 글로벌 금 수요 추세가 미국과 유럽에서 아시아로 옮겨가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통신은 전했다.

HSBC홀딩스는 현재 중국과 인도 인도네시아 베트남이 전 세계 금 수요의 약 60%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했다. 이는 지난 2004년의 35%에서 높아진 것이다.

중국과 아시아의 견실한 수요에도 골드만삭스와 크레디트스위스 등 전문기관의 금값 전망은 비관적인 편이다.

블룸버그의 조사에서 전문가들은 내년 3분기에 금값이 온스당 1175달러 선으로 떨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는 금값이 지난 2010년 수준으로 후퇴한다는 의미라고 통신은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부동산 PF 체질 개선 나선다…PF 자기자본비율 상향·사업성 평가 강화 [종합]
  • ‘2025 수능 수험표’ 들고 어디 갈까?…수험생 할인 총정리 [그래픽 스토리]
  • 삼성전자, 4년5개월 만에 ‘4만전자’로…시총 300조도 깨져
  • 전기차 수준 더 높아졌다…상품성으로 캐즘 정면돌파 [2024 스마트EV]
  • 낮은 금리로 보증금과 월세 대출, '청년전용 보증부월세대출' [십분청년백서]
  • [종합] ‘공직선거법 위반’ 김혜경 벌금 150만원…法 “공정성·투명성 해할 위험”
  • 이혼에 안타까운 사망까지...올해도 연예계 뒤흔든 '11월 괴담' [이슈크래커]
  • "늦었다고 생각할 때가 제일 빠를 때죠" 83세 임태수 할머니의 수능 도전 [포토로그]
  • 오늘의 상승종목

  • 11.1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9,308,000
    • +4.23%
    • 이더리움
    • 4,528,000
    • +1.16%
    • 비트코인 캐시
    • 623,500
    • +6.76%
    • 리플
    • 1,009
    • +6.89%
    • 솔라나
    • 311,300
    • +6.25%
    • 에이다
    • 812
    • +7.69%
    • 이오스
    • 776
    • +1.57%
    • 트론
    • 257
    • +3.63%
    • 스텔라루멘
    • 179
    • +1.7%
    • 비트코인에스브이
    • 91,850
    • +18.52%
    • 체인링크
    • 19,000
    • +0.48%
    • 샌드박스
    • 403
    • +1.5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