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우 오지은이 자신의 뷰티 노하우를 소개하며 파우치를 공개했다. 카메라는 테이블 위에 놓인 헤어 상품들을 클로즈업했고, 브랜드명이 버젓이 노출됐다. 오지은은 “실리콘이 없는 샴푸다. 두피까지 마사지해 줘 굉장히 개운하고 청량감이 느껴진다. 정신이 맑아지는 것 같은 느낌이 든다”고 말했다. 이에 출연자들은 “나도 이것을 써야겠다”, “정말 강추”, “향이 좋다” 등 제품에 대해 긍정적 평가를 쏟아냈다. SBS 플러스 ‘서인영의 스타 뷰티쇼2’의 한 장면이다. 해당 장면은 ‘방송심의에 관한 규정’ 제46조(광고효과의 제한) 제1항 및 제2항 위반으로 방송프로그램의 관계자에 대한 징계 및 경고 처분을 받았다.
특정 상품을 노골적으로 홍보하는 뷰티 프로그램이 법정 제재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과도한 노출을 일삼고 있다. 시청자에 대한 정보 제공의 수준은 이미 넘어선 지 오래다. 뷰티 프로그램은 메이크업 시연이나 영상을 프로그램 속에 자연스레 녹여 한 편의 간접광고(PPL:Product PLacement)를 양질의 콘텐츠로 둔갑시킨다. 실제 뷰티 프로그램들은 기획 단계부터 광고주와 치밀한 협의 아래 프로그램을 구성한다. 약 30분의 방송 분량 동안 브랜드에서 말하고자 하는 것을 전문가의 입을 통해 설명함으로써 제품의 신뢰도와 브랜드 인지도를 높일 수 있다는 점이 광고주들을 유혹했다. 결국, 이는 과도한 PPL 가격의 상승 요인으로 작용했다.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겟잇뷰티’는 한 회를 통으로 사는 방식으로 약 8000만~1억원 정도 수준이다. SBS 플러스 ‘서인영의 스타 뷰티쇼’, MBC ‘손담비의 뷰티풀 데이즈’ 등은 약 10~15분의 코너 단위로 3000만~4000만원 선이다. 시청자들에게 정보제공이란 슬로건 아래 생겨난 뷰티 프로그램들은 정보보다는 소비자들을 PPL제품에 현혹하게 만들어 결국 구매로 연결, ‘방송사만 돈 버는 프로그램’으로 전락시켰다. 현재의 뷰티 프로그램은 정보제공의 허울을 쓴 치밀하고 정교하게 계산된 브랜드의 광고홍보 도구,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