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행복연금위원회가 유력하게 논의하고 있는 안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과연 ‘연금’의 존재 이유를 아는지 의구심이 들 정도다.
연금은 노인이 최소한의 품위를 지키면서 살라고 만들어 놓은 것인데 깎아도 너무 깎고 있다는 비난이 일고 있는 것 역시 이 때문이다.
국민연금 가입기간이 길수록 기초연금 지급액을 줄이는 국민연금 균등부분(A값) 반비례안이나 소득 최저생계비 150% 이하 노인에게만 지급하는 방식은 사실상 국민연금을 보완하는 기초연금의 당초 취지와는 맞지 않다.
젊은 세대들에겐 먼 얘기로 들리겠지만 실제 연금을 못 받는 사람은 장차 노인이 될 젊은 세대들이 될 수 있다. A값이 채워지면 미달되는 부분만 기초연금을 주겠다는 것인데 이는 연금의 당초 목적에서 벗어난다.
국민연금 기준소득 월 최고액인 389만원을 받는 근로자가 30년간 국민연금을 납입해도 지급액은 100만원에 못 미친다. 현재 국민연금 소득대체율이 20~25% 수준으로 기초연금 10%를 더해도 40%가 안 된다. 세계은행과 같은 신자유주의 기구에서도 국가가 운영하는 공적연금의 권고 소득대체율을 40%로 보고 있는데, 여기에도 못 미친다.
현재 차등지급의 주요 논거는 돈이 많이 들어가니까 줄이자는 얘기다.
전문가들은 국민연금과 같은 공적연금이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얼마인지가 중요하지 절대액을 논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말한다. 기초연금을 국민연금 전체 가입자 평균소득의 10%(20만원)로 확대하고 전체 노인에게 지급한다 해도 기초연금 지출은 GDP 대비 4.34%에 불과하다. 유럽 복지국가는 GDP의 10%를 연금으로 지출하고 있다. 여기에 노인 빈곤율은 45%로 OECD 평균의 3배가 넘는다. 재정 문제가 중요하다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다. 그러나 당장 현실보다 미래를 내다보는 장기적 안목의 복지 플랜이 필요한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