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의 경영전략가 존 호킨스 호킨스어소시에이츠 대표<사진>가 창조경제를 지향하는 한국 정부가 앞으로 직시해야할 3가지 과제를 제시했다.
호킨스 박사는 30일 삼성동 백암아트홀에서 열린 ‘제4회 KISTEP 창조경제포럼’에서 초청 강연자로 나서 “창조경제를 실현하려는 정부는 어려운 상황에 놓여있다. 이는 즉, 사회가 변화하는 과정에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라며 창조경제 구현을 위해 정부가 해야할 일을 조언했다.
호킨스 박사는 우선 정부의 윗선에서 창조경제에 대한 리더십을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다수의 리더들이 창조경제를 꾀하고 있다”며 “한국의 경우 박근혜 정부가 먼저 창조경제를 내걸었다는 점에서 굉장히 운이 좋은 사례라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정부의 주도없이 민간 영역에서 창조경제를 이끌어 내는데는 한계가 있다는 의미다.
이어 호킨스 박사는 데이터 수집을 실시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창조경제의 필요성이 거론되고 있는 이 시점에 사회·경제적 환경이 어떻게 구축돼 있는지 파악할 수 있는 객관적인 통계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는 “정부가 새로운 분류체계를 가져야 한다는 의미”라며 “모든 국가들이 산업분류체계를 새롭게 바꿔가고 있는 만큼 한국도 스스로 어떤 상황에 처해있는지 볼 줄 알아야 한다”고 말했다.
호킨스 박사는 그 다음 단계로 정부와 정책에 대한 평가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정책, 법률 등을 체크해서 과연 창조경제에 부합하는지 봐야 한다”며 “영국도 1960년대, 1970년대서부터 새로운 정책들이 해당 분야의 목표에 부합하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경제 및 세제정책 등을 검토했다”고 설명했다.
호킨스 박사는 무엇보다 창조경제의 기반이 되는 창의성에 대한 이해가 요구된다고 조언했다. 창의성이란 무형적인 것으로 정부는 이 같은 무형의 것을 유형적으로 바꿀 수 있어야 한다는 사실을 인지해야 한다는 것이다.
끝으로 호킨스 박사는 “창조는 ‘학습+적용 (learning+adaptation)’”이라며 “새로운 것을 흡수할 수 있는 것, 새로운 것을 깨달아 가는 것 등을 밝게 비추어지면서 끊임없이 순환과정을 거치는 것”이라고 정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