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서 흡연자를 16년간 추적해 폐암 발병률을 관찰한 결과가 처음으로 나왔다. 16년간의 흡연자 추적조사 연구는 국내 최장기간이다.
30일 안윤옥 서울대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팀이 대한의학회지 4월호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서울에 사는 남성 1만4533명을 1993년부터 2008년까지 추적조사한 결과 이 기간 흡연자의 폐암 발생률이 비흡연자의 4배에 달했다.
특히 2009년 우리나라 성인 남성 흡연율 41%를 기준으로 계산했을 때, 성인 남성 폐암 발생의 55.6%가 흡연이 원인이라는 분석을 내놨다. 이는 금연할 경우 국내 폐암 발생의 절반 이상을 줄일 수 있다는 얘기다.
우리나라 흡연자의 폐암발생률은 8년 추적관찰과 16년 추적관찰 결과가 비흡연자의 4배로 비슷했다. 영국에서 3만4000여명을 대상으로 20년과 40년을 각각 추적 관찰했을때 흡연자의 폐암 사망위험이 20년째 8배에서 40년째에는 15배로 곱절 가까이 증가했던 것과 대조된다.
연구팀은 한국의 추적 관찰기간이 짧은 이유도 있지만 국내에서는 비흡연자로 분류된 간접흡연자의 폐암 발병률이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책임자인 배종면 제주대 의학전문대학원 교수는 “흡연기간이 다른 사람의 폐암 발병률이 같다는 얘기는 우리 사회의 흡연율이 워낙 높아 비흡연자가 받는 간접흡연의 피해가 심각함을 뒷받침하는 것”이라며 “국내에서도 법적 장치를 마련해 영국처럼 40년 이상 추적 연구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