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카드업계가 수익성 악화에 몸살을 앓고 있다. 보험사들은 저금리·저성장 기조에 자산운용 이익률이 하락 추이를 보이며 수익성에 빨간불이 켜진 지 오래다. 또 카드사들은 가맹점 수수료 체계 개편으로 인해 수익성이 곤두박질치고 있는 데다 금융당국이 규제를 강화하고 있어 허리띠를 졸라매야 하는 상황이다.
◇ 어려워지는 보험사 구조조정 가능성 = 저금리·저성장 기조로 인해 보험산업의 침체가 장기화되면서 구조조정이 가시화되고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올해 하반기 한두 차례 기준금리가 더 내려갈 것이라는 시각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금리가 한두 차례 더 인하되면 보험사들의 자산운용이익률은 3%까지 떨어지는 곳이 많아 도산 위험성도 배제할 수 없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보험사들이 다각도로 성장동력을 찾고 있는 상황”이라며 “그럼에도 수익성이 지속적으로 악화된다면 비용절감 차원에서 인력 감축을 시행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삼성화재는 지난해 말 희망퇴직을 통해 인력 감축을 실시한 바 있다. 당시 희망퇴직 신청자가 40~50대인 점을 감안할 때 고비용의 인력을 감축하고 젊은 인력으로 대체해 경영 악화에 대비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삼성화재는 매년 희망퇴직을 실시했으나 해가 지날수록 희망퇴직 규모가 늘고 있는 추세다.
삼성화재에서 희망퇴직으로 회사를 떠난 직원은 2009년 60명에서 2010년 100명으로 늘었으며 지난해에는 150명 가량이 사직했다. 손보사들의 경우 자동차 손해율이 상승 추세에 있어도 금융당국이 자동차보험료 인상을 제재하고 있어 손보사들은 진퇴양난인 상황이다.
생보사들도 6% 이상의 고금리가 전체 총 보험계약의 35%를 차지해 역마진이 더욱 악화될 것이란 시각이다. 게다가 금융당국이 지급여력비율(RBC) 기준 강화에 나서 각 보험사는 더 높은 지금준비금을 쌓아야 한다.
보험사로선 유동자금 확보를 위해 허리띠를 졸라매야 하는 상황이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당장의 인력 감축이 없더라도 올해 하반기 희망퇴직을 실시하는 보험사들이 늘어날 것이란 전망이다.
◇ 카드 규제에 수익성 악화 = 어렵기는 카드업계도 마찬가지다. 특히 카드사들은 35년 만의 가맹점 수수료 체계 개편으로 수수료 수익마저 급감했다.
한 증권사 애널리스트는 “현재 카드사가 이런 상태로 지속된다면 구조조정도 머지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카드사들은 체크카드, 모바일카드 등으로 새로운 수익성을 확보해 나가겠다는 입장이지만 수익성 확보의 한계에 부딪친 상황이다. 최근 금융당국이 현금서비스 리볼빙 상환을 금지하는 등 각종 규제를 쏟아내는 상황이다.
정부의 신용카드 규제로 카드 사용이 위축되고 있다. 지난달 국내 카드 승인금액은 44조8000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4.5%(1조9000억원) 늘어나는 데 그쳤다.
카드 승인금액 증가율은 지난해 2월 24.9%에 달했지만, 12월 7.1%, 올해 1월 6.3%, 2월 3.4%, 3월 5.6% 등 5개월째 한 자릿수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여신금융협회 관계자는 “경기 침체로 소비가 줄어든 데다가 여신금융업법 개정으로 카드사의 마케팅 활동이 축소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신한카드의 올해 1분기 순이익은 1606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1866억원)보다 13.9% 줄었다. 삼성카드(665억원)도 같은 기간 순이익이 7% 감소했고, KB국민카드도 충당금 일시감소 영향을 제외하면 순이익(656억원)이 7.9% 줄었다.
삼성카드는 지난해 말 100여명의 희망퇴직을 실시한 바 있다. 삼성카드의 구조조정 대상은 임원은 물론 부장급과 일반직원까지 포함됐다. 비씨카드는 10년 만에 80명을 명예퇴직시켰다.
올해는 상황이 더 나쁘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카드시장 불황으로 상시 구조조정이 이뤄지고 있다”고 말한다.
인사이동을 통한 좌천, 재교육 형태로 임직원에 대한 구조조정을 진행한다고 귀띔한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차라리 희망퇴직을 통한 구조조정이 속 편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희망퇴직은 강제조항이 아닌 본인의 의사에 따라 결정하는 것인 데다 퇴직금도 명예퇴직보다 높게 책정해 주기 때문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보험사 및 카드사들은 구조조정을 진행하지 않더라도 신입 채용 규모를 줄이고 계약직을 늘리는 쪽으로 인력을 활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