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우리나라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전년대비 반토막 나면서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사실상 제자리걸음을 나타냈다.
'2012년 국민계정(잠정)'에 따르면 작년 1인당 GNI는 2만2708달러로, 전년도(2만2451달러)보다 257달러(1.1%) 늘어나는데 그쳤다.
1인당 GNI는 2007년 처음으로 2만달러를 돌파(2만1632달러)했으나 금융위기를 거치면서 2만달러 아래로 떨어졌고 이후 2010년(2만562달러)에 2만달러대에 다시 올라섰지만 2년간 2146달러 늘어나는데 그쳤다.
이는 한국경제 성장세의 둔화에 기인한다. 실제로 개인이 마음대로 처분할 수 있는 소득으로, 한은이 올해 처음으로 산출한 1인당 개인총처분가능소득(PGDI)은 1만3150달러에 그쳤다.
이는 전년과 비교할 때 244달러 증가에 불과하다. 1인당 GNI 대비 PGDI의 비율은 57.9%로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평균(61.3%)에 못 미쳤다.
현대경제연구원 김동열 수석연구위원는“국내외 경제 부진이 지속된다면 잠재성장률이 1~2%대로 하락해 국민소득 3만달러 달성시기는 2020년, 4만달러는 2032년에나 가능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현재 인구 1000만명 이상, 1인당 소득 4만달러 이상의 선진국들이 2만달러에서 3만달러로 도약하는데 평균 9.6년, 3만달러에서 4만달러는 5.6년이 걸린 것보다 크게 늦은 시기다.
김 연구원은 "이렇게 되면 선진국과의 격차는 더 벌어지고 선진국 클럽 진입은 사실상 불가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우려했다. 때문에 전문가들은 국민소득 증대를 위해 성장잠재력을 높이고 재정건전성과 경상수지 균형을 유지해 경제 기초체력 강화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