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 업계는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화 등으로 순익 급감 및 자본잠식 등 최악의 경영난에 직면해 있다. 생존의 기로에 서 있는 저축은행들은 새로운 활로를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저금리 기조에 경기침체까지 겹치면서 수익원 발굴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하지만 냉혹한 구조조정 한파 속에서도 높은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 비율과 낮은 고정이하여신 비율을 유지하고 있는 몇몇 우량 저축은행들도 존재한다. 이들 저축은행은 BIS 비율이 퇴출기준(5%)은 물론 통상 우량저축은행 기준으로 여겨지는 8%를 크게 상회하며 고정이하여신 비율도 8%를 밑돌고 있다.
약 10곳으로 추려진 우량저축은행들의 공통적인 경영전략은 저축은행 본연의 역할에 충실했다는 점이다. 경기도에 소재한 저축은행 한 관계자는 “저축은행의 본연의 임무인 지역고객들에 대한 대출영업에 주력해왔다”며 “이런 이유로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시장 부실에 따른 저축은행 연쇄 구조조정에서 살아남을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이 관계자는 “금융당국이 지금까지의 구조조정으로 신뢰가 추락한 저축은행에 서민과 영세 자영업자 전용 저축은행 대출심사 시스템을 도입, 지역밀착형 서민금융기관으로 탈바꿈시키겠다고 선언한 만큼 저축은행 영업에 활력이 기대된다”면서 “하지만 저축은행 대출자는 신용도가 낮은 경우가 대부분이고 연체 가능성도 높아 수익을 내기가 어려운 게 사실”이라고 털어놨다.
다른 저축은행 관계자는 “소액대출이나 정부가 보증하는 햇살론 등의 서민금융 상품을 주로 판매하는 등 건전성 악화를 최소화해 왔다”고 밝혔다.
2011년 저축은행 구조조정 태풍이 몰아치기 전까지 저축은행들은 본연의 지역밀착 금융보다 부동산 PF를 무리하게 늘렸다. 저축은행 업계의 PF대출 잔액은 2005년 5조4000억원에서 2010년 17조4000억원까지 치솟았다. 하지만 부동산 경기침체가 장기화되자 원리금을 감당하지 못하는 시행사가 속출, 부실채권 비율이 급증하며 수익성 악화와 자본잠식에 빠지고 말았다.
수익원 부재에 빠진 저축은행 업계를 위해 금융당국이 최근 은행을 통한 저축은행 상품 연계대출을 허용한 데 이어 저축은행에 할부금융업과 펀드판매업을 허용하는 방안도 추진키로 했지만 업계 반응은 미온적이다.
저축은행 한 관계자는 “저소득·저신용 고객이 상당수인 저축은행에 펀드 판매가 얼마가 효과를 거둘지 의문”이라며 “타깃 고객의 신용도가 낮은 만큼 연체위험 등을 지원해줄 대책이 절실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