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금융권에 따르면 은행들은 임직원 감봉과 휴가의무 사용, 카드·보험사는 인력감축에 초점을 맞추며 긴축경영에 돌입했다.
지난 7월 초 비상경영체제를 선언한 농협은 중앙회 차원에서 대대적인 경비절감과 예산감축에 들어갔다. 이에 따라 농협금융지주는 8월 부터 12월까지 7개 계열사 경영진의 임금을 10% 삭감키로 했다.
경영상태를 고려해 계열사 전체의 팀장급 이상 직원의 임금을 10% 가량 자진반납하는 형식으로 일괄 삭감하는 방안도 고려 중이다.
농협중앙회 관계자는 “경기침체로 경영여건이 갈수록 악화되고 있어 비상경영체제 가동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KB국민은행은‘닷새 유급휴가 및 닷새 무급휴가’형식의 의무휴가제 도입을 저울질하고 있다. 급여를 줄이고 휴가를 늘린다는 방안이다.
보험업계에는 올해 말까지 10% 정도 인력을 줄일 계획이다. 지난해 대규모 감원을 단행했던 삼성생명, 삼성화재 등 대형사들은 올해도 추가 인력감축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공개 매각을 추진하는 그린손해보험과 ING생명은 인수·합병 결과에 따라 인력 구조조정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카드사 역시 올해 10% 가량의 인력 축소를 예고하고 있다. 다만 정년·명예퇴직 등의 방법으로 후유증 최소화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현대카드는 조직개편을 통한 일부 임원·팀장 자리 손실로 자연스런 인력 구조조정을 이룰 계획이다.
반면 지난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일찌감치 비용 절감에 들어갔던 일부 금융기관들은 기존 비용절감 제도에 대한 점검에 방점을 찍었다. 신한은행은 2010년 부터 시작한 열흘 연속 휴가제인 ‘10일 웰프로 휴가제’를 독려하고 있고 하나은행은 5영업일 특별휴가를 얹은‘15일 리프레시 휴가제’사용을 점검한다. 자산관리공사는 2010년부터 사용한 ‘연차휴가 30% 의무소진제’를 유지하고 복지지원비를 무더기로 없앴다.
현재 진행 중인 금융산업사용자협의회와 금융노조간 협상에서 결정될 임금·퇴직 지침에 따라 9월 이후 금융권의 칼바람은 더욱 거세질 전망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정부와 공공부문이 솔선수범해 경직성 비용을 대폭 줄일 것으로 예상하는 만큼 금융노조의 공동단체협상도 이런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본다”며 “협상 결과로 적잖은 감원·예산감축이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