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가조작, 흔히들 ‘작전’이라고 불리는 불공정거래 유형은 다양하다. 다만 법률에서 명시한 불공정거래는 부정거래, 시세조종, 미공개 정보 이용(내부자거래) 등 크게 세 가지.
지난해 금융감독원이 포착한 불공정거래 건수는 총 209건으로 이 가운데 위법사실이 발견돼 검찰 고발 조치된 사건은 152건이다. 시세조종(30.9%)이 가장 많았고 이어 미공개 정보 이용(28.3%), 부정거래(22.4%), 지분 보고 위반(18.4%) 순이다.
예전 추세가 대규모 자금과 인력의 동원해 대규모로 이뤄졌다면 최근의 작전 유형은 단연 ‘작게’, ‘빠르게’로 요약할 수 있다.
홈트레이딩시스템(HTS), 스마트폰, 메신저 등의 사용 일반화되면서 수법도 갈수록 지능화되고 있다. 특히 예전에는 일부 세력들만의 전유물이었다면 최근에는 자신도 모르게 ‘작전’의 수급주체가 될 정도로 시장에서 광범위하게 만연됐다.
특히 SNS, 인터넷 카페 등을 동원해 ‘치고 빠지기식’의 소규모 작전이 최근의 증시 트랜드다. 이들은 규모가 작지만 상대적으로 잦은 빈도로 발생하면서 증시에 끼치는 악영향은 더 크다. ‘김정은 사망설’, ‘이스라엘 이란 공격설’, ‘연변 원자로 폭발설’ 등 최근 국내 증시를 뒤흔들었던 악성 루머 생산. 유포자 역시 이들이다.
또 자금력이 있는 개인 투자자들이 이리저리 출몰하면서 소위 ‘테마주’를 중심으로 주가를 단기간에 끌어올리는 소위 ‘미니 작전’ 역시 만연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