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한 중견 IT부품생산기업 A업체는 세계적 경쟁력을 갖춘 일본기업의 스마트폰 카메라 모듈(A/F 액추에이터) 생산부문 인수에 성공해 올해 첫 번째 해외 소재부품 기업 M&A 성공 사례가 됐다.
정부는 이같은 부품소재기업의 해외 인수합병(M&A) 활성화를 위해 1000억원 규모의 부품소재 상생펀드 설립을 추진한다. 또 부품소재 M&A Desk 사업에 10억원의 예산을 투입하는 등 다양한 지원을 전개할 계획이다.
지식경제부는 19일 서울 그랜드 인터콘티넨탈 호텔에서 ‘국내 소재부품기업들의 M&A시장 진출 무엇이 문제인가?’란 주제로 토론회 및 한-일 IT부품기업간 M&A 본계약 체결행사를 가졌다.
이날 행사에 참가한 국내 기업들 가운데 유니테크 등 해외 M&A 추진 기업들은 내부적으로 M&A의 타당성을 분석할 전문 인력 부족을 언급했다. 또 김대중 큐더스 대표는 IB 및 대형증권사로부터 1000억원 미만의 소형딜에 대해 컨설팅을 제공받지 못 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지경부는 소재부품 기업들의 M&A 추진에 필요한 인수자금 조달 지원을 위해 전문펀드 설립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지난해 9월 설립한 ‘제1호 한일 부품소재 상생펀드’에 이어 올해 1000억원 규모의 ‘제2호 부품소재 상생펀드’를 추가로 설립할 계획이다.
또 부품소재 M&A Desk사업에 10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전세계 44개 M&A 전문기관의 연합체인 ‘Global M&A와 전략적 MOU’체결을 추진한다. 지경부는 M&A Desk사업을 중기청의 ‘중소벤처기업 M&A 지원센터’와 연계해 사업을 통해 발굴한 해외 M&A 매물을 국내 중소중견 벤처 소재부품기업에 알성하는 등의 시너지 극대화에 나선다.
김재홍 지경부 성장동력실장은 “기술진보가 빠르게 일어나고 있는 산업환경에서 전통적인 연구개발(R&D) 외에도 M&A가 매우 효과적인 기술혁신의 수단이 될 수 있다”며 “이들 M&A가 성공적으로 추진될 경우, 해당기업은 선진기술 확보는 물론 경영노하우 및 시장까지 함게 얻는 일석삼조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김 실장은 “국내 소재부품 기업들도 M&A가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의 수단이 될 수 있음을 인지하고 우리 중소 소재부품기업들도 M&A를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