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참여당이 결국 분열로 치닫고 있다. 진보통합을 취하면서 내분은 커진 꼴이다.
진앙지는 유시민 대표다. 4.27 김해 재선거 패배의 직격탄을 맞은 뒤 유 대표는 민주노동당 등 진보진영과의 통합에 주력해 왔다. 특히 이 과정에서 진보신당의 압박에 굴복, 한미FTA 반성문을 쓰면서 당은 악화일로에 놓였다. 창당정신인 ‘노무현 가치’를 버리면서 당의 근간을 훼손했다는 비판이었다. 또 친노그룹인‘혁신과통합’(혁통)의 잇단 구애에도 불구하고 소통합에만 매진, 결국 민주진영 전체로 부터 냉소만 키웠다.
이 모든 게 유 대표의 정치적 이해로부터 비롯됐다는 게 반발 세력의 공통된 주장이다.
문태룡·김충환 전 최고위원 등은 당내‘원탁회의’를 구성, 27일 성명서를 발표하고 진보통합에 대한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앞서 10일엔 참여정부 출신으로 당을 뒷받침했던 이재정·이병완·정찬용 상임고문이 중앙위에 서한을 보내 진보통합 논의 중단을 촉구했다. 대신 민주당과 혁통이 추진 중인 대통합의 물결에 동참할 것을 주장했다.
이들이 유 대표에 등을 돌릴 경우‘유시민 사당(私黨)’이란 꼬리표를 떼긴 어렵게 됐다. 태생적 한계를 벗어나지 못함에 따라 ‘유시민 팬덤’ 현상만 가속화됐고, 유 대표 또한 이에 의존하면서 정치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당이 전락했다는 지적이다.
익명을 요구한 한 상임고문은 기자와의 통화에서 “유 대표가 지난해 경기지사 선거, 올해 김해 재보선에서 무리수를 뒀다”면서 “그런데 이젠 당 만든 지 1년밖에 안 돼 그만두고 딴 데로 가려 한다”고 비판했다.
문 전 최고위원 역시 “유 대표가 한미FTA 등 참여정부에 대한 입장을 자꾸 번복한 건 그의 정치적 진로와 관련 있는 것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그는 진보통합 논의에 대해서도 “대단히 권위적·독선적으로 진행됐다”면서 “당원들의 뜻에 거스르는 일”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통합안을 부결시키고 유 대표의 퇴진을 요구할 것”이라고 강경하게 맞섰다.
반면 이백만 대변인은 “통합국면에서 이탈자는 10%도 채 안 된다”며 “(그런 추진력이 없으면) 유 대표에게 지도력이 없다고 비난하지 않겠느냐”고 반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