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정책에 거스르지 말라’는 오랜 재테크 격언이다. 논란의 중심에 선 정치인 테마주는 논외로 하더라도 최근 시장을 좌우했던 강한 테마주 이면에는 정부가 있다. 실제로 이명박 정부 출범이후 4대강, 원자력, 자전거, 철도, 스마트그리드 등 굵직한 테마주 형성은 정부의 경제 정책에 기인한 바가 크다.
금융감독원이 전날 최근 테마주 열풍에 대해 “대표적인 약탈 행위”라는 다소 과격한 언어까지 동원해 척결 의지를 밝혔다.
권혁세 금융감독원장은 “지푸라기라도 잡고 싶은 투자자들을 선동해 정치인이나 연예인 관련성을 내세워 테마주를 만들어내고 있다”는 말로 강력한 단속 의지를 천명했다.
실제로 테마주들은 최근 증권방송, 인터넷 카페, ARS 등 소셜네트워크(SNS)를 통해 관련 루머가 확대·재생산되면서 물의를 일으켰다.
특정 종목에 대한 조사도 언급했다. 금감원은 “최근 언론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 대현, 솔고바이오 등에 대한 불공정거래 여부와 안철수연구소의 2대주주에 대한 지분보고위반 여부에 대한 조사를 실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금감원의 이번 조치는 투자자 피해 확산 방지와 증권시장의 투명성 제고 차원에서 다소 늦은 감이 있지만 다행스런 일이다.
다만 테마주 자체가 증시에 해악적인 요소로만 작용했는지는 꼼꼼히 따져볼 여지가 있다. 특히 이번 조사로 반등의 기미를 보이고 있는 코스닥 시장 자체에 찬물을 끼얹을 수 있다는 우려를 지울 수 없다.
일부 세력들의 이기적 시장왜곡으로 테마주의 순기능이 제대로 알려지지 못한 점은 더욱 아쉬운 대목이다.
개장 15년을 맞이한 코스닥시장이 이나마 성장할 수 있었던 데는 테마주의 힘이 컸다. 외국인과 기관의 철저한 외면 속에서 일부 테마주가 상승 모멘텀을 제공했고 버팀목 역할을 했다는 것은 부인할 수는 없다. 조사는 철저하고 단호하게 이뤄져야 하지만 증시 테마 전체를 매도해선 곤란하다. 금감원의 ‘양날의 칼’이 어디로 향할지 지켜볼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