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과 에너지 절감은 중국의 생존이 걸린 문제다.
고성장에 따른 환경오염은 중국인의 건강을 심각하게 위협하고 있으며 전력난 등 만성적인 에너지 부족은 경제의 지속적 발전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환경보호부의 최근 조사에 따르면 전국 농경지의 10분의 1이 납과 아연 등 중금속 오염도가 기준치를 넘어선 상태다.
완번타이 중국 환경보호부 총공정사는 “최근 수년간 중금속 유출 사건이 계속해서 발생했다”면서 “지난 1~2월에도 불과 2개월간 총 11건의 사고가 일어났다”고 우려했다.
상반기 기준 중국의 지표수 중 20%는 수질이 농업용수 수준인 5등급에 불과했다고 완 총공정사는 지적했다.
주중 미국 대사관은 지난 10월 말 수도 베이징의 대기오염 정도가 6개 등급 가운데 최악인 ‘위험(Hazardous)’ 등급이라며 현지 거주 미국인의 주의를 촉구하기도 했다.
환경 오염은 급기야 사회불안으로 이어지고 있다.
다롄에서는 지난 8월 유독성 화학물질인 파라크실렌(PX)을 생산하는 푸자다화 공장의 이전을 요구하는 대규모 시위가 벌어졌다.
저장성의 한 태양광전지 공장에서도 지난 9월 오염물질이 주변 하천에 흘러 들어갔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이에 항의하는 시위가 일어났다.
중국 국가에너지국은 지난달 보고서에서 지난 여름에 이어 올 겨울에도 심각한 전력난을 겪을 가능성이 높다면서 전력 부족분이 2600만KW(킬로와트)에 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중국 정부는 12차 5개년 개발계획(2011~2015년) 기간 환경보호 부문에만 총 3조1000억위안(약 545조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이는 이전 5년보다 2배 이상 늘어난 것이다.
정부는 에너지 부족 현상을 해소하기 위해 단위 국내총생산(GDP) 당 에너지 소비를 4년 안에 지난해보다 16% 줄이는 것이 목표다.
이에 따라 친환경 에너지절약 산업이 중국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 2008년의 1.49%에서 오는 2015년에는 7~8%대로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세계 각국은 중국의 환경보호 강조에 대해 환영하면서도 불안감을 감추지 않고 있다.
중국이 환경보호를 이유로 희토류 등 자국이 갖고 있는 전략적 자원들을 무기화할 수 있기 때문.
이미 중국은 지난해부터 전기자동차와 스마트폰, 미사일 등 각종 첨단제품에 쓰이는 희귀금속인 희토류 수출을 제한해 세계 각국의 반발을 사고 있다.
세계 최대 희토류 생산업체인 중국 바오터우철강은 일본 업체의 수요 감소 등으로 희토류 값이 떨어지자 아예 한 달간 조업을 중단하는 극단적 조치를 취했다.
중국은 카드뮴과 금, 인듐, 철광석과 석회, 텅스텐, 아연 등 여러 광물 자원의 세계 최대 생산국이기도 하다.
이들 광물자원에 대해서도 중국은 수출쿼터를 줄이는 등 점진적으로 공급을 제한하고 있다.
론 커크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는 지난 7월 “중국이 보호무역주의적 이득을 취하기 위해 원자재 수출제한을 과도하게 행하는 것이 문제”라며 “이 같은 행태는 글로벌 공급망의 심각하고 거대한 왜곡을 불러 일으킨다”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