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역 가출 매몰지 침출수가 유출된 것으로 드러나면서 2차 오염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8일 환경부의 '2011년도 가축매몰지 침출수 환경영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3분기 기준 가축 매몰지 300개소 중 3분의 1 가량인 105개소에서 침출수 유출이 확인됐다.
환경부는 올해 23억3000만원의 예산을 편성해 분기 1회씩 전국 300개 매몰지(일반조사 270개소, 정밀조사 30개소)를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했다. 지난 1분기 조사에서 26개소의 침출수 유출이 확인됐고 2분기에는 78개소(신규 52개소), 3분기에는 108개소(신규 27개소)로 유출 관측정이 늘어났다.
여기에 지속관찰이 필요한 곳이 1분기 81개소, 2분기 66개소, 3분기 46개소로 집계돼 3분기 기준 2곳 중 1곳은 침출수가 유출됐거나 유출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창조한국당 유원일 의원은 지난 9월 전국 지자체로부터 제출받은 수질조사 결과를 토대로 전국 1099곳의 관측정 중 57.3%인 630곳에서 침출수가 유출됐다는 의혹을 제기한 바 있다.
그러나 매몰지 관측정을 책임지고 있는 농식품부와 지자체는 장마 직전 매몰지 보강 작업을 실시했고 이후 침출수가 유출된 적은 없다고 주장해왔다. 환경부 역시 매몰지 인근지역 지하수 모니터링 결과를 제시하며 침출수 유출에 따른 지하수 오염은 없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이번 환경영향조사 결과에 대해서도 환경부는 여전히 침출수 유출을 단정짓기는 어렵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환경부 관계자는 "염소이온, 암모니아성질소, 질산성질소 등의 항목을 조사한 결과 침출수가 유출됐을 가능성이 높은 곳일 뿐"이라며 "매몰지 현지 사정이나 축산폐수 유입 가능성 등이 있기 때문에 단정적으로 침출수가 유출됐다고 말하기는 힘들다"고 밝혔다.
문제는 매몰지 침출수 유출이 인근 지하수와 하천 오염 등 2차 환경 문제를 불러올 수 있다는 점이다. 지하수는 유속이 매우 느리지만 한번 오염되면 복원하기 매우 어려운 특성이 있다.
침출수 유출로 지하수가 오염되면 이용을 금지하고 상수도를 공급하는 것 외에 오염 확산을 막을 뚜렷한 방법이 없다.
식수를 지하수에 의존하거나 매몰지 주변에서 농작물을 키우는 주민 입장에서는 물의 오염 여부를 미리 인지하고 대비하지 않을 경우 심각한 위험에 처할 수 있다.
환경부는 일단 환경영향조사가 진행 중인 만큼 침출수 유출 여부와 구체적인 지역은 보고서가 완료되는 내년 초에야 공개가 가능하다는 입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