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서적인 얘기지만 이 정의에 한은 실세 인맥이 포진해있다. 통화신용정책을 담당하는 곳이 시쳇말로 ‘제일 잘 나가’는 부서란 얘기다.
◇통화정책 담당이‘실세?’= 한은에서 통화정책을 기획하는 곳은 정책기획국이다. 한은 일각에서는 이 곳을 ‘로열 패밀리’로 부르기도 한다. 통화정책을 담당하는 부서인 만큼 무게감이 여타 부서와는 다르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2228(2010년말 기준 한은 임직원 수)대1의 경쟁률을 뚫고 부총재를 달기 위해서는 정책기획국을 거쳐야 한다는 얘기도 나온다. 이주열 부총재는 조사국장, 정책기획국장, 통화정책담당 부총재보를 거친 다음 부총재 자리에 올랐다.
현재 정책기획국은 금융시장국장을 거친 정희전 국장이 맡고 있다. 정 국장은 한은 내에서 명망이 두텁다. 실력도 갖췄지만 부드러운 리더십으로 직원을 이끌고 있다는 평이다.
물론 통화신용정책과 관련된 부서는 정책기획국만은 아니다. 금융시장국, 조사국, 국제국도 정책 업무를 맡고 있다. 이 곳의 국장들도 핵심 인맥으로 꼽힌다.
이 중 이상우 조사국장은 한은법 개정안 통과를 계기로 위상이 한층 높아졌다는 전언이다. 금융당국, 기획재정부 등과 협의하는 과정에서 한은법 개정안의 골격을 짠 만큼 논공행상을 한다면 이 국장에게 일부 돌아가야 한다는 것이다.
이 국장은 금융시장국과 정책기획국을 두루 거치며 정책통으로 인정 받는다.
◇김중수 총재 이후 타부서도 중용= 하지만 김 총재가 지난해 4월 취임한 이후 각 국의 무게중심이 미묘하게 변하고 있다. 김 총재는 취임 이후 줄곧 “2군(Second-tier)으로 인지되는 부서가 있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 같은 김 총재의 의중은 인사에서 나타났다. 김 총재 취임 이후 총무국장 출신을 연달아 부총재보로 임명했다.
지난해 5월에는 장세근 총무국장을 기획 총무 담당 부총재보로 임명했다. 이어 지난해 8월에는 박원식 총무국장을 지역담당 부총재보로 선임했다. 기존까지 비주류로 꼽히던 부서가 승진 코스로 급부상했다.
특히 박 부총재보의 인사는 무게감을 더했다. 당시 송창헌 부총재보의 임기 만료로 국제 부문의 부총재보가 공석이었다. 이전까지 한은 인사의 관행을 고려하면 안병찬 국제국장이 부총재보에 임명돼야 했다. 하지만 지역담당 부문을 새로 만들어 박원식 총무국장을 앉힌 것은 한은 내부에서도 의아하면서도 신선하게 받아들여졌다.
장세근 부총재보 인사가 김 총재 취임 직후 실시된 것을 고려하면 박 부총재보의 인사가 사실상 김 총재의 의중을 담은 첫번째 임원 인사였던 셈이다.
김 총재는 이어 국제부문 업무를 조사부문을 담당하는 김재천 부총재보가 겸하게 했다. 이 때문에 한은 내에서는 차기 부총재로 김 부총재보가 입에 오르내리기도 한다. 김 총재의 신뢰가 두텁기에 국제와 조사 업무를 함께 맡긴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다.
김 총재 취임 이후 기획국의 무게감도 커졌다는 평가다. 김 총재가 한은의 조직개편을 핵심과제로 삼아왔다. 기획국은 김 총재의 뜻을 반영하며 조직개편의 첨병 역할을 하고 있다. 무게감이 커질 수 밖에 없는 이유이다. 현재 기획국은 강준오 국장이 맡고 있다. 강 국장은 지난해 6월 김 총재 취임 이후 기획국장으로 임명됐다.
한은법 개정으로 ‘금융안정’ 기능을 추가하면서 금융안정분석국의 중요성도 커졌다. 현재 한은법 개정과 관련 추진 중인 조직개편의 골자는 금융안정분석국의 확대 개편이 될 전망이다.
김 총재는 금융안정분석국장에 올 2월 금융시장국을 거친 강태수 국장을 임명했다. 강 국장은 행내 동기들 중에서도 승진에서는 선두였다. 이어 확대 개편될 조직의 초대 국장에 임명된 점을 미뤄 김 총재의 신임을 받는 것으로 평가 받는다.
한은 관계자는 “한은은 학연, 지연보다는 일적인 인연이 중요하다”며 “김 총재 체제에서 부서의 중요성이 뒤바뀌면 장기적으로는 금융안정 기능의 중추를 담당하는 부서에서도 부총재나 총재가 나올 수 있지 않겠냐”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