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로 우주의 가속 팽창 성질을 밝혀낸 사울 펄무터(52·미국)와 브라이언 P. 슈미트(44·호주), 애덤 G.리스(42·미국)가 선정됐다.
스웨덴 왕립과학원은 4일(현지시간) 이들이 초신성 관찰을 통해 우주의 팽창속도가 점점 더 빨라지는 사실을 규명해 "미지의 대상인 우주의 장막을 걷어내는 데 일조했다"고 선정 이유를 밝혔다.
펄무터는 버클리캘리포니아대(UC버클리), 슈미트는 웨스턴크릭호주국립대, 리스는 존스홉킨스대에 각각 교수로 재직중이다.
초신성은 항성(별) 진화의 마지막 단계에 이른 늙은 별이 폭발하면서 많은 양의 에너지를 뿜어내는 현상을 말한다. 폭발할 때 밝기는 평소의 수억 배에 달하고 이후 서서히 어두워진다. 사실상 죽음을 앞둔 별의 마지막 모습이지만, 마치 새로 생겨난 밝은 별처럼 보여 초신성이라 부른다.
그동안 축적된 관측·연구 결과를 토대로 초신성은 질량 크기에 따라 등급이 나뉘는데, 같은 등급의 초신성은 같은 밝기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그리고 초신성은 매우 크고 밝은 천체로, 굉장히 멀리 떨어진 거리에서도 관측할 수 있다.
약 15년 전까지만 해도 미국의 천문학자 허블이 망원경을 통해 관찰하거나 도플러효과에 따라 계산된 우주의 팽창 속도는 일정한 것으로 받아들여졌다. 그러나 올해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세 명이 이끄는 연구팀은 그런 가설이 '오류'였음을 증명했다.
허블 시대보다 훨씬 더 정밀해진 최근 관측기기로 매우 멀리 있는, 좀 더 정확하게는 '빅뱅' 즈음에 만들어져 지금 우주 끝 자락에 있는 초신성의 팽창 속도를 재보니, 도플러효과에 따라 예상되는 속도와 같았다.
반면 상대적으로 가까이에 있는 초신성의 실제 팽창 속도는 기존에 알려졌던 우주의 팽창 속도보다 빨랐다. 결국 우주의 팽창 속도는 빅뱅 이후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는 게 아니라, 최근 들어 속도를 내고 있다는 얘기다.
상금 1천만크로네(17억원 상당)는 연구 기여분에 따라 절반은 펄무터에게, 나머지 절반은 슈미트와 리스에게 지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