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개혁특별위원회의 개혁방안 최종안이 오는 20일부터 본격 논의될 예정이다. 지난달 10일 개혁특위가 최종안을 마련한 지 40일여 만이다. 최종안이 지역구 후보자 선출방식 및 당직 선출방식, 대표 및 최고위원 선출 방안, 대통령 후보 선출 방식 등을 담고 있다는 점에 비쳐보며 다소 늦은 감이 있다.
최종안은 도출까지 전당대회 방식과 경선 룰 등을 놓고 극심한 진통을 겪었다. 손학규 대표, 정동영 최고위원, 정세균 최고위원 등 이른바 당내 빅3의 갈등이 표출됐기 때문이다.
‘완전 국민참여 경선’과 ‘국민참여 경선’에 대한 이견을 비롯해 지역위원장의 총선 전 120일 전 사퇴와 경선에 참여한 여성 후보자에게 100분의 20의 가산점 부여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여성후보자 우대를 놓고 당 안팎의 이견이 쏟아졌다.
당 조직력에 우세한 정세균 최고위원 측은 당원의 참여가 높은 국민참여(50%) 경선을, 대중적 인지도가 우세한 손학규 대표 측과 정동영 최고위원 측은 완전 국민참여(100%) 경선을 선호하며 갈등을 빚었다. 개혁특위 최종안의 최고위원 추인 지연은 표면적으로 빅3의 갈등이 사그라진 것처럼 보이지만 이들이 당권을 놓고 물밑 경쟁을 하고 있음을 방증한다.
빅3간 갈등 이외에도 야권통합 문제 역시 최종안 처리의 발목을 잡고 있다. 민주당이 민주노동당, 진보신당, 국민참여당 등 야권을 포괄하는 대통합의 기치를 내걸었지만 다른 야당들은 민주당은 통합 대상이 아니라는 입장이다. 야권통합 논의에 따라 대통합이 될 경우 최종안의 수정도 불가피하다. 전대 성격이나 후보 선출 규정 역시 통합 전대를 대비해야 한다는 주장과 통합의 현실성이 떨어지는 만큼 민주당만의 전대라도 준비해야 한다는 입장이 교차하고 있다.
전당대회만 해도 아직 일정조차 잡지 못한 상태다. 손 대표 측은 당권 프리미엄을 유지하기 위해 12월쯤 전당대회를 전망하고 있으나 정동영, 정세균 최고위원 측은 조기전대를 주장하며 첨예하게 대립각을 세우고 있다. 전당대회 방식, 경선 룰, 야권통합 논의가 서로 맞물리면서 이렇다 할 진척을 보이지 못하고 있는 셈이다. 이를 놓고 당내 계파간 갈등의 골은 점점 깊어 지는 양상이다. 당내 비주류 측을 중심으로 손 대표의 리더십 부재가 집중 도마에 오르고 있다. 이에 대해 손 대표는 “정권교체를 위해 야권통합은 반드시 이룰 것”이라며 강경한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최종안의 열쇠를 쥐고 있는 최고위원들도 현재까지 이렇다 할 논의조차 못했다. 천정배 민주당 개혁특위 위원장 측 관계자는 “아직까지는 독해를 하고 있는 단계”라며 “이번 주 일요일부터 서로 의견을 낼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개혁특위안이 최고위원회의 추인을 받을지 논쟁이 될지는 미지수”라고 말해 최종안의 추인이 불투명하다는 점을 시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