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백만장자 유럽보다 많아졌다

입력 2011-06-23 09:58 수정 2011-06-23 10:1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전세계 백만장자 재산 42조7000억, 위기 전보다 늘어…아시아 330만명, 유럽보다 20만명 많아

글로벌 경제의 더블딥(이중침체) 우려가 이어지고 있지만 부자들의 재산은 위기 전보다 오히려 늘었다.

메릴린치와 캡제미니가 매년 발표하는 ‘세계 부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백만장자들의 자산 규모는 지난 2007년 40조7000억달러에서 지난해 42조7000억달러(약 4경5860조원)로 증가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2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아시아 지역의 백만장자 수는 330만명으로 유럽의 310만명을 앞질렀다.

백만장자 증가에는 글로벌 주식자산이 18% 증가한 것이 주효했다.

부자들이 가장 많이 살고 있는 나라 ‘톱3’는 여전히 미국 일본 독일 등 세계 3위 경제국이 석권했다.

미국의 지난해 백만장자는 340명으로 8.3% 늘었다.

이어 중국과 영국이 4~5위를 차지했다.

중국의 백만장자는 53만5000명으로 불어났지만 미국의 6분의1 수준이다.

연령대는 전세계 백만장자의 83%가 45세 이상이며 73%가 남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높은 부채로 성장 둔화를 겪고 있는 유럽 국가의 백만장자들이 아시아 부유층을 따라가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유일하게 부유층이 줄어든 이탈리아는 지난해 백만장자가 4.7% 감소했으며 스페인은 전년의 12위에서 14위로 추락했다.

2009년 부자가 23.8% 급증했던 영국은 지난해 1.4% 증가하는데 그쳤다.

메릴린치 웰스 매니저의 아담 호로비츠 영국·아일랜드·이스라엘 부문 대표는 “영국의 부유층 증가세가 저조한 것은 부동산을 매입하려는 부자들이 많기 때문”이라면서 “이에 반해 미국 백만장자들 가운데는 주식시장에 투자하려는 사람들이 많다”고 설명했다.

중동 지역은 백만장자가 10.4% 늘며 세계에서 가장 빠른 증가세를 보였다.

백만장자 수는 40만명으로 이들의 자산은 1조7000억달러에 달했다.

대부분이 오일머니로 부를 축적하고 있는 중동 부유층은 글로벌 주식 이외에도 고유가 덕을 톡톡히 보고 있다.

▲전세계 백만장자 분포(단위: 백만명).(메릴린치·캡제미니-FT)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이재명 공직선거법 유죄...‘정당 쪼개기’로 434억 '먹튀' 가능?
  • 하루 시작부터 끝까지…변우석과 함께 보내는 하루! [솔드아웃]
  • 다 상술인건 알지만…"OO데이 그냥 넘어가긴 아쉬워" [데이터클립]
  • ‘2025 수능 수험표’ 들고 어디 갈까?…수험생 할인 총정리 [그래픽 스토리]
  • 리스크 털어낸 리플…'美 증시ㆍ비트코인' 하락에도 나 홀로 상승
  • 예금자보호한도 23년 만에 1억으로 상향…금융권 파장은?
  • 프리미어12 한국 대표팀, 오늘 일본과 B조예선 3차전…중계 어디서?
  • 韓 환율관찰 대상국 재지정…“국내 채권시장 최악의 시나리오, 환율 상향 고착화”
  • 오늘의 상승종목

  • 11.1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6,202,000
    • -2.47%
    • 이더리움
    • 4,383,000
    • -3.35%
    • 비트코인 캐시
    • 599,500
    • -4%
    • 리플
    • 1,152
    • +14.17%
    • 솔라나
    • 301,800
    • -3.08%
    • 에이다
    • 873
    • +7.38%
    • 이오스
    • 812
    • +4.24%
    • 트론
    • 256
    • -0.39%
    • 스텔라루멘
    • 189
    • +5.59%
    • 비트코인에스브이
    • 91,800
    • -0.16%
    • 체인링크
    • 19,140
    • +0.58%
    • 샌드박스
    • 398
    • -1.2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