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유치원과 초·중·고교의 96%에서 발암물질인 석면이 검출돼 충격을 주고 있다. 특히 학교의 석면 건축재 철거 및 복구 비용으로 무려 5조4000억원 이상 필요한 것으로 조사돼 교육당국이 어떤 대안을 내놓을 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10일 경기도교육청이 교육과학기술부와 전국 시도교육청에 공개한‘학교석면 안전관리 최종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서울, 경기 등 전국 6개 시도의 유초중고 및 특수학교 100곳을 표본조사한 결과 96곳(96%)에서 석면이 검출됐다.
교실 천장과 벽면, 바닥 등에서 채취한 시료 1008개 중 769개(76.3%)가 백석면이나 갈석면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급별 석면 검출률은 유치원·고교 100%, 초교 97.1%, 중학교 92.9%, 특수학교 80% 등 순이다.
석면이 검출된 건축재는 천장 텍스가 638개(82.9%)로 가장 많았고 이어 벽면재인 밤라이트 110개(17.2%), 슬레이트 18개(2.3%), 가스켓 2개(0.3%) 등 순이다.
건축 연도별로는 1980년대 이전 지어진 63개 교육시설의 경우 석면 검출률이 100%에 달했고 1980∼1990년대 시설과 1990∼2000년대 시설은 각각 82.5%와 85.7%의 석면 검출률을 보였다.
특히 이번 조사에서는 지금껏 안전한 것으로 여겨져 왔던 2000년도 이후에 지어진 건물 8곳중 5 곳에서 석면이 검출됐다.
연구진은“이러한 결과는 학교 건축물의 주기적인 개보수 작업에 기인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말했다. 석면 안전시설 상당수가 개보수 과정에서 석면 함유 건축재가 사용된 탓에 석면위험시설로 탈바꿈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육안검사 방식으로 실시된 16개 시도교육청의 석면실태 조사에서도 전체 1만9815개교의 85.1%에 해당하는 1만6873개교가 석면 의심시설로 분류됐다.
연구진은“석면은 잠복기가 20~30년으로 길고 인체에 대한 위해성이 각종 연구를 통해 밝혀지고 있다”며“위험성 평가에서는 심각하게 손상돼 당장 제거해야 할 건축물(1등급)은 없었기 때문에 석면의심 자재가 손상됐거나 손상이 추가적으로 발생될 가능성이 있는 2등급에 해당하는 건물을 대상으로 관리가 이뤄져야 한다”고 판단했다. 나머지 6548개교는 보통 수준의 위험성을 지닌 4∼5급으로 분류됐다.
이와 관련해 교과부는“경기도 교육청에서 제출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생들의 석면 피해를 최소화 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관리 방안을 수립해 올 7월부터 추진할 계획이라고”밝혔다.
또 서울시 교육청은“석면의심 물질이 훼손됐다고 나온 학교가 일부 있으나 바로 고형화 등의 조치를 취해 안전한 상태로 관리되고 있다”며 “학생들의 건강에는 문제가 없다. 심각한 훼손이 발생하면 해체 등에 필요한 예산을 우선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