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컨대 고부가가치 고객을 위해서는 PB(프라이빗 뱅킹)나 RM(고객관리 전문가) 시스템이 신설됐습니다. 저부가가치 고객에 대해서는 서비스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후선지원업무를 집중시킨 콜센터가 설립됩니다. 또한 지점은 기존의 ‘작은 은행’에서 판매점으로 개념이 바뀌었고 이에 따라 리스크 관리도 본점에 집중시켜 지점 권한을 축소시킵니다.
그 결과 은행 직원들도 저부가가치와 고부가가치로 차등화, 서열화됐습니다. 단순 업무는 자동화(ATM의 경우 1996년 말 대비 2003년 6월까지 4.5배 증가)되거나 콜센터로 집중됐지만 복잡한 숙련 업무엔 많은 인력이 필요하지 않게됐습니다. 이같은 현상은 은행권의 전체 인력이 감소하면서 비정규직화와 아웃소싱화가 심화되는 것으로 귀결됐습니다. 실제로 1996년부터 2002년 사이 시중은행의 전체 인력은 30.7% 감소했는데 비정규직과 서무/별정직을 제외한 정규직으로만 따지면 40.9%가 줄어들기도 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사례로 국민은행은 지난 2005년 2169명에 대한 구조조정을 실시하고 전직 희망자들은 업무지원센터 등 백오피스 업무에 배치한 것입니다.
어떤 산업이든 경쟁력을 높이려면 첨단기술을 채택할 필요가 있습니다. 하지만 첨단기술을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서 다른 결과가 나오기도 합니다. 이러한 점에서 은행산업은 첨단기술을 받아들이는 과정에서 비정규직을 대량 양산하는 방향으로 흘렀던 것입니다.
아울러 IMF 경제위기를 지나면서 본격화된 은행간 인수·합병도 비정규직 확대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2006년 3월에 나온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 보고서에 따르면 구조조정 과정에서 다른 은행에 합병된 은행 직원들의 절반 이상이 퇴출됐다고 합니다. 국민은행에 합병된 7개 은행 직원의 경우 합병 전의 2만6319명에서 2005년 말엔 1만1092명으로 줄어들었습니다. 생존율이 45%에 불과했던 셈입니다. 특히 국민은행에 합병된 장기신용은행 직원들의 경우 합병 전엔 모두 1012명이었으나 이중 90% 이상이 직장을 떠나기도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