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산의 부익부 빈익빈 실태가 통계로 드러났다.
통계청은 19일 ‘소득과 자산에 따른 차별 출산력’이라는 자료를 통해 2003~2009년 소득 35~44세의 경우 소득 100만원 미만 가구 평균 출생아수가 1.72명으로 가장 적고 500만원 이상 가구가 2.02명으로 가장 많았다고 밝혔다.
통계청은 만혼화와 지연출산으로 인해 출산이 진행중인 연령대의 차별 출산력 분석을 통해 유의미한 결과를 얻기 힘들어 완결되는 시점에 가까운 35~44세 유배우 여성을 중심으로 분석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기준 100만원 미만 1.79명, 200~300만원 1.97명, 500만원 이상은 2명이었다.
2003년과 2009년 평균 출생아수의 차이는 소득 금액이 300~400만원이 2.06명에서 1.95명으로 0.11명이 줄고 400~500만원은 2.06명에서 1.97명으로 0.09명이 줄어 감소폭이 컸다.
소득 분위별로는 2003~2009년 7개년 평균 35~44세 유배우 여성의 평균 출생아수는 저소득층인 1분위가 1.77명, 2분위 1.88명, 3분위 1.95명, 4분위 1.99명, 5분위 2.02명으로 소득 분위가 높아질수록 많았다.
소득 분위간 출생아수 차이는 소득 1분위(1.77명)와 2분위(1.88명)간이 0.11명으로 가장 크고 고소득층으로 갈수록 줄었다.
2008년에는 3분위 1.97명, 4분위 1.95명, 지난해 3분위 1.98명, 4분위 1.94명으로 3분위에 비해 4분위 평균 출생아수가 더 적은 것이 특징이다.
2003년과 2009년 35~44세의 소득 5분위별 평균 출생아수의 차이는 저소득층인 1분위의 감소폭이 -0.08명으로 가장 컸고 4․5분위의 감소폭이 -0.07명으로 뒤를 이었으며 중간소득 집단의 출생아수 변화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지난해 25~44세 소득 분위별 자녀수 구성비는 소득 증가에 따라 한자녀 비율은 감소하고 두자녀 비율은 증가했다.
세자녀 이상의 다자녀 가구 비율은 소득에 따른 뚜렷한 패턴이 나타나지 않았다.
2003년과 2009년의 자녀수를 비교하면 무자녀와 한자녀 비율은 증가하고 두자녀 비율은 감소했다.
1분위 가구의 두자녀 비율은 57.1%에서 45.1%로 12.0%p로 줄어 가장 많이 감소했으며 4분위 가구의 두자녀 비율은 2003년 61.7%, 2006년 63.7%, 2009년 57.1%로 처음으로 60% 미만으로 감소했다.
지난해 25~44세 평균 출생아수는 남녀 소득별로 남성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평균 출생아수가 증가했으며 남성 소득 100만원 미만은 1.71명, 500만원 이상은 1.90명이었다.
가구내 여성 소득이 여성 소득이 100만원 미만 1.79명, 100~200만원 1.64명, 200만원 이상 1.55명으로 증가하면 대체로 평균 출생아수가 감소하는 경향이 있지만 남성의 소득 구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지난해 25~44세의 평균 출생아수는 남성 소득이 더 많은 가구는 1.75명, 여성 소득이 더 많은 가구는 1.69명이었다.
35~44세의 평균 출생아수는 5분위가 2.00명으로 가장 많고, 1․2분위는 각각 1.78명, 1.75명으로 가구의 총자산 규모가 증가할수록 평균 출생아수도 늘었다.
총자산에서 부채를 제외한 순자산의 경우도 35~44세의 평균 출생아수는 5분위가 1.98명으로 가장 많고, 1․2분위는 각각 1.82명, 1.74명으로 순자산 규모가 증가할수록 평균 출생아수가 증가했다.
25~44세는 자가 가구는 1.90명, 전월세 등은 1.68명으로 모든 연령대에서 자가 가구의 평균 출생아수가 전월세 가구보다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