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검열에 대항하며 지난 3월 중국에서 철수했던 구글의 중국 사업 지속여부가 중국정부의 온라인 지도서비스 승인여부에 따라 결정될 전망이다.
중국 국가측량국(SBSM)이 지난달 발표된 새 규정에 따라 구글 지도서비스의 승인여부 심사에 들어갔다고 10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다.
정부당국의 한 관계자는 “구글이 온라인 지도서비스 승인을 신청했다”고 밝혔지만 구체적인 진행사항 언급은 피했다.
새 규정에 따르면 온라인 지도 및 위치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든 업체는 국가측량국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그리고 업체들은 반드시 정부 규정에 따라 지명을 표기해야 하며 여기에는 영토분쟁 지역도 포함돼 있다. 군사정보 등 민감한 정보는 삭제해야 한다.
이 규정은 구글에 불리하다. 구글은 이용자들이 온라인 지도상에 표기를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기 때문.
구글이 요구조건을 충족시켰다 하더라도 정부승인 여부는 불투명하다. 인터넷 검열문제로 구글과 중국정부의 관계가 악화됐기 때문이다.
베이징 소재 시장조사업체 애널리시스 인터내셔널의 에드먼드 위 최고경영자(CEO)는 “정부와의 관계는 어느 나라에서나 사업의 중요요소 중 하나로 중국에서 특히 더 중요하다”고 밝혔다.
중국정부는 이달 말 정부승인을 받은 기업을 1차적으로 발표하고 승인 획득에 실패한 기업명단은 올해 말까지 공개하기로 했다.
정부 승인을 못 받은 기업은 중국에서 온라인 지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금지된다.
구글의 지난 3월 중국철수는 중국의 인터넷 검열에 공개적으로 반발한 첫 케이스이기 때문에 중국정부가 보복에 나설 것이라고 예상됐었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정부가 구글에 대해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홍콩으로 옮긴 구글 중국 사이트도 정상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당국은 현지에서 구글의 다른 글로벌 사이트를 검색하는 것을 막지 않고 있다.
구글의 지도서비스는 중국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서비스 중 하나로 구글은 현지 제휴사이트와 모바일폰에도 지도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애널리시스 인터내셔널은 “중국의 올해 온라인 지도서비스 총 매출이 7200만달러(약 9000억원)으로 지난 2005년의 870만달러에 비해 비약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중국정부는 지도에 대해서 국가 안보 및 국경분쟁 등 정치적 민감성 때문에 엄격한 검열을 해왔고 온라인 지도에 대해서도 지난 2008년 이후 시장이 급성장하자 검열을 강화해 왔다.
국가측량국에 따르면 중국에서 온라인 지도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는 약 4만개에 달하며 구글 서비스는 가장 인기있는 서비스 중 하나이다.
구글 지도서비스의 지도를 제공하는 현지 업체인 맥에이비시는 이미 당국의 승인을 받았다고 밝혔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구글의 파트너 업체들의 면허획득과는 별도로 구글도 정부의 승인을 받아야 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아직까지는 구글 검색사이트의 철수로 구글의 중국사업이 큰 타격을 입지는 않은 상태다.
중국 최대 포털사이트인 시나닷컴은 여전히 구글 검색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으며 구글의 안드로이드폰도 정상적으로 판매되고 있다.
구글의 중국매출은 지난 1분기 검색시장 점유율이 전분기의 35.6%에서 30.6%로 줄어든 이후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
에드먼드 위 CEO는 “구글의 시장점유율이 사람들의 생각만큼 떨어지고 있지는 않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