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청이 중소기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내년부터 '중소기업 현장 생산성 향상대책'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29일 밝혔다.
중기청은 "현재 국내기업의 생산성은 선진국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이라며 "특히 중소기업의 경우 대기업의 3분의 1 수준에 머물러 심각한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우리나라의 노동생산성은 OECD 30개국 중 23위에 그치고 있으며, 지난해 국내 중소기업의 노동생산성을 100으로 했을 때 영국(188), 미국(182), 독일(162), 일본(141)에 비해 한참 낮은 수준이다.
중기청은 "특히 생산환경이 열악한 50인 미만 소기업 생산성이 낮고 다른 산업에 연관효과가 큰 1차금속 및 조립금속의 생산성이 정체돼있다"며 "아울러 경제위기에 따른 생산감소와 설비투자 축소, 생산단위 당 노동력 증가 등으로 인해 급격히 하락한 중소기업 생산성의 회복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장기적으로는 고질적인 중소기업 인력 부족과 향후 도래할 인구감소시대를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중기청은 전했다.
이에 따라 중기청은 개선이 시급한 취약 기업과 다른 산업에 파급효과가 큰 중소기업의 생산성 향상 위주로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중기청은 "아울러 중소기업의 구조개선을 위해 생산공정에 IT결합, 기술 융합과 복합 확산, 기업간 협업방식의 생산협력 확대 등 새로운 생산기법을 현장에 확산하기 위한 과제를 추진할 것"이라며 "또 생산성 향상 활동의 주체가 되는 중소기업 임직원의 역량 강화와 생산성에 대한 인식을 확산하기 위한 교육·훈련 기회 제공, 진단 모델 개발·보급 등의 과제도 추진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우선 1만개 중소기업의 생산성 향상 프로그램(업그레이드 200)을 추진한다.
내년부터 2013년까지 4년 동안 스스로 개선역량이 부족한 50인 미만 소기업(6000개), 관련산업에 파급효과가 큰 금형 등 제조기반 업종 중소기업(2000개), 주력 수출상품의 부품을 생산하는 협력 중소기업(2000개) 등 1만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먼저 생산현장에 대한 전문가 진단을 실시하고, 진단결과에 따라 시설개량이 필요한 경우 정책자금 융자(2010년 4000억원), 신용보증 공급(3000억원), 공정개선을 위한 R&D 지원(200억원), 생산성 교육훈련(4000명) 등을 지원한다.
이와 함께 금형, 주물, 용접 등 30개 제조기반기술 분야에서는 업종별 생산개선을 위한 전략기술을 선정하고 전문 중소기업을 육성, 업종별 기술 고도화 지원 등 종합육성계획 수립 및 추진할 방침이다.
또한 생산현장 에너지 다소비 5대 기기의 친환경화를 위해 ▲전동기 ▲보일러 ▲요.로 ▲산업용 조명기기 ▲냉난방기기 등 5대 기기의 고효율화를 위한 기술개발을 지원하고, 성공과제는 공공구매 우대, NEP 등 기술인증 획득 및 특허출원, 판로 등을 지원키로 했다.
또한 기업간 협력 및 기술융복합 확산을 위해 개별 중소기업이 보유한 전문역량의 상호 보완·협력을 이업종 중소기업간 협력을 통한 신제품·신기술 개발 지원(4년간 200개 과제), 100개 융합기술에 대한 R&D 지원, “중소기업 기술융복합지원센터” 지정 등을 통해 新생산모델 확산을 모색할 예정이다.
이외에도 생산성 향상 교육 및 연수과정 마련 및 생산성 진단모델을 개발하고 중기청 차장을 위원장으로 하는 '중소기업 생산성 향상 지원협의회'를 구성한다.
중기청 관계자는 "이번 대책을 활용하여 중소기업들은 생산환경 개선, 공정 IT화, 협력사업 등을 지원 받아 생산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에너지 절감 등으로 수익성을 제고할 수 있을 것"이라며 "종업원 등에 대한 교육을 통하여 기업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중기청은 2013년까지 중소기업의 생산성을 대기업 대비 32.4%에서 50%까지, 소기업 생산성은 24.9%에서 40%까지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대책을 추진하고, 매년 중소기업 현장 생산성을 평가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