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뇌졸중학회 “뇌졸중센터 유지·네트워크 구축 위한 정부 지원 절실”

입력 2024-09-23 11:2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권역심뇌혈관센터와 인적네트워크 사업 기반 급성기 뇌졸중 치료 현황 분석·개선 논의

▲김경문 대한뇌졸중학회 이사장(성균관의대 신경과 교수)이 21일 서울 프레지던트 호텔에서 개최된 제2회 한국 뇌졸중 네트워크(Korean Stroke Network 2024, KSN)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제공=대한뇌졸중학회)
▲김경문 대한뇌졸중학회 이사장(성균관의대 신경과 교수)이 21일 서울 프레지던트 호텔에서 개최된 제2회 한국 뇌졸중 네트워크(Korean Stroke Network 2024, KSN)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제공=대한뇌졸중학회)

대한뇌졸중학회가 21일 서울 프레지던트 호텔에서 제2회 한국 뇌졸중 네트워크(Korean Stroke Network 2024, KSN)를 성공적으로 개최했다고 23일 밝혔다.

KSN는 뇌졸중 안전망 구축을 위해 필요한 뇌졸중 네트워크 기반을 마련을 목적으로 대한뇌졸중학회가 2023년 시작했으며 올해 두 번째로 진행됐다. 대한뇌졸중학회 이외에도 유관학회 임원진과 보건복지부, 소방청 등이 참석해 뇌졸중 안전망 구축 현안을 공유하고 해결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다. 올해는 뇌졸중 진료에 참여하는 다양한 분야에서 195명이 참석했다.

행사 심포지엄에서는 중증질환의 적기에 치료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중증질환 취약지역을 최소화하기 위해 올해 2월부터 시작된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네트워크와 인적네트워크 사업 현황 및 문제점, 향후 나아갈 방향을 논의했다.

국내에는 10개의 권역심뇌혈관질환 네트워크가 운영 중이다. 올해 2월부터 7월까지 총 954건의 환자가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급성기 치료를 받았으며, 그중 뇌경색은 총 471건, 뇌출혈은 143건이었다.

권역센터 네트워크 관련 발표를 진행한 김성헌 강원의대 신경과 교수는 의료 취약지역 중 하나인 강원지역 권역네트워크의 경우 강원대학교병원 중심으로 총 6개 기관이 참여하고 있지만, 인력이 부족하고 119에서 권역센터가 아닌 초급성기 뇌졸중 치료가 어려운 응급의료센터로 이송되는 경우가 많아 골든타임을 놓치기 쉽다고 지적했다. 김성헌 교수는 급성 심뇌혈관질환은 권역센터의 각 전문진료과의 의료진이 주도하는 환자분류시스템(triage system) 구축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김대현 동아의대 신경과 교수는 “뇌졸중 의심 환자가 119신고 후 병원에 도착하기까지 30분 이상 소요된 경우가 전체의 65.5%로 이 시간이 점차 길어지고 있는데, 이는 뇌졸중 의심 환자의 수용 여부를 응급실에서 결정하게 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부산경남지역은 뇌졸중 핫라인을 이용하면 병원 선정시간이 단축될 수 있지만, 인력 등의 문제로 핫라인이 전국에서 가능한 것은 아니다”라고 부연했다.

김대현 교수에 따르면 부산·경남 지역 권역센터인 동아대병원조차 뇌졸중 환자의 33.4%가 타 병원에서 전원을 오고 있다. 이는 2015년 개정된 119 구급대원 현장 응급처치 표준지침에 ‘병원 전 뇌졸중 선별검사가 양성이면 즉각적인 혈전용해치료가 가능한 지역응급의료기관 이상의 의료기관으로 이송함을 원칙으로 한다’라는 내용이 작용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김대현 교수는 “현재 지역응급의료기관 중 30% 이상은 24시간 급성기 뇌졸중 진료가 불가능하므로 초급성기 치료가 가능한 뇌졸중 센터 확충과 동시에 표준지침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차재관(동아의대 신경과 교수) 대한뇌졸중학회 KSN 위원장 및 부이사장과 이경복 대한뇌졸중학회 정책이사(순천향의대 신경과 교수)가 21일 서울 프레지던트 호텔에서 개최된 제2회 한국 뇌졸중 네트워크(Korean Stroke Network 2024, KSN)에서 질의응답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제공=대한뇌졸중학회)
▲차재관(동아의대 신경과 교수) 대한뇌졸중학회 KSN 위원장 및 부이사장과 이경복 대한뇌졸중학회 정책이사(순천향의대 신경과 교수)가 21일 서울 프레지던트 호텔에서 개최된 제2회 한국 뇌졸중 네트워크(Korean Stroke Network 2024, KSN)에서 질의응답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제공=대한뇌졸중학회)

아울러 행사에서는 현재 진행 중인 인적네트워크 사업의 경과도 공유됐다. 올해 2월부터 8월까지 총 295명의 환자가 치료를 받았고 이 중 108건이 뇌경색 환자였다. 인적네트워크로 매칭돼 치료받은 뇌경색 환자의 89%가 적절하게 매칭돼 전원 후 진료를 받았으며, 매칭될 때까지 걸린 시간은 대부분 10분 이내로, 현재 여러 인력난이 있는 상황에서도 뇌경색 인적네트워크는 제 기능이 유지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인천지역 뇌경색 인적네트워크의 책임자인 박희권 인하의대 신경과 교수는 지속해서 인적네트워크 담당자들과 소통하고 모임을 하면서 뇌경색 환자들의 치료를 위해 협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박희권 교수는 “해당 시스템을 장기적으로 유지하려면 정부의 인력유지와 시스템 유지를 위한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심포지엄에 참석한 오희석 소방청 구급역량개발팀 과장은 “119 구급대원이 병원 방문 전 연락하는 것은 수용 여부보다는 병원에 알리기 위한 목적이었는데, 어느 순간부터 응급실 수락 여부를 확인하는 것으로 변질돼 환자들이 응급실 방문시간을 지연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라며 “현재 소방청은 뇌졸중과 같은 중증응급질환 환자들을 신고 당시부터 조기평가하기 위해 상황실에서부터 환자분류작업을 하는 사업을 2024년 계획하고 있어 해당 사업이 적절하게 실현돼 더 많은 환자가 골든타임 내 초급성기 치료를 받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경복 대한뇌졸중학회 정책이사(순천향의대 신경과 교수)는 “적절한 뇌졸중 진료를 받을 수 있는 지역 뇌졸중센터가 부족하고, 네트워크 사업 지원 비용도 아직 많이 부족한 상황”이라며 “권역/인적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365일 24시간 유지되는 뇌졸중 안전망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추가적인 지원이 필요한 실정”이라고 강조했다.

대한뇌졸중학회는 2018년부터 전국 어디서나 표준화된 뇌졸중 급성기 치료를 위해 뇌졸중 센터 인증사업을 시작했다. 현재 재관류 치료가 가능한 뇌졸중 센터를 포함해 총 86개 뇌졸중 센터를 인증했다. 이번 KSN에서 뇌졸중센터 모범인증병원 5개 병원과 뇌졸중등록사업 최우수병원 3개 병원, 뇌졸중센터 우수인증위원 5명에게 시상도 진행했다.

차재관 대한뇌졸중학회 KSN 위원장 및 부이사장(동아의대 신경과 교수)은 “뇌졸중 센터의 인증을 더욱 많은 병원으로 확대하는 것 못지않게 인증된 뇌졸중 센터의 질관리를 꾸준하게 하는 것이 전국 뇌졸중 안전망 구축에 필요해, 학회에서 꾸준하게 뇌졸중 센터 관리를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경문 대한뇌졸중학회 이사장(성균관의대 신경과 교수)은 “여러 인적네트워크와 권역심뇌혈관센터 네트워크 사업의 지속과 성공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병원 전단계부터 적절한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라며 “병원 전단계에서 119 구급대와 뇌졸중 의료진 간의 소통이 환자를 파악하고 치료계획을 세우는 데 중요하며, 학회는 지속적인 KSN 심포지엄을 통해 뇌졸중 치료에 참여하는 의료진, 소방청의 의견을 경청하고 협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알림] 이투데이, '2024 CSR 영상공모전'... 27일까지 접수
  • ‘어둠의 코시’ 프로야구 포스트시즌으로 향하는 매직넘버는? [해시태그]
  • 고장 난 건 앞바퀴인데, 뒷바퀴만 수리했다 [실패한 인구정책]
  • Z세대의 말하기 문화, 사회적 유산일까 문제일까②[Z탐사대]
  • 단독 車 탄소배출 늘어도 최대 포인트 받았다...허술한 서울시 ‘에코’
  • WSJ “삼성전자ㆍTSMC, UAE에 대규모 반도체 공장 건설 추진”
  • '뉴진스 최후통첩'까지 D-2…민희진 "7년 큰 그림, 희망고문 되지 않길"
  • '숨고르기' 비트코인, 한 달 만에 6만4000달러 돌파하나 [Bit코인]
  • 오늘의 상승종목

  • 09.23 14:26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5,401,000
    • +1.38%
    • 이더리움
    • 3,555,000
    • +2.75%
    • 비트코인 캐시
    • 457,600
    • -0.04%
    • 리플
    • 791
    • -0.88%
    • 솔라나
    • 195,800
    • -0.81%
    • 에이다
    • 476
    • +1.06%
    • 이오스
    • 697
    • +1.16%
    • 트론
    • 202
    • -0.49%
    • 스텔라루멘
    • 128
    • -1.54%
    • 비트코인에스브이
    • 65,750
    • +0.54%
    • 체인링크
    • 15,250
    • +0.79%
    • 샌드박스
    • 373
    • -0.5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