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규모 보험사 90.1조·증권사 21.2조 순으로 집계
“증권사, 후순위·지분투자 비율 높아…특이사항도 발생”
한국은행은 26일 발표한 ‘9월 금융안정상황 보고서’를 통해 비은행금융기관의 해외대체투자 규모는 6월말 기준 약 135조2000억 원으로 추산된다고 분석했다. 업권별로는 보험사(90조1000억 원, 총자산 대비 7.8%), 증권사(21조2000억 원, 3.8%), 상호금융중앙회(19조2000억 원, 1.9%), 여전사(4조4000억 원, 1.7%) 및 저축은행(3000억 원, 0.4%) 순이다. 투자지역은 북미(45.8%), 투자 대상은 상업용 중심의 부동산(37.3%) 투자 비중이 가장 높았다.
해외 상업용 부동산 가격 하락 시 상대적으로 리스크가 큰 후순위·지분투자의 자본대비 비율은 증권사(자본대비 8.8%)와 보험사(5.5%)가 여타 업권(0.8~2.9%)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은은 “선순위 투자자의 경우 부동산가격 하락시에도 담보물 매각을 통해 투자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반면, 후순위·지분투자는 선순위에 비해 상대적으로 손실위험이 높다”고 설명했다.
한은은 해외 상업용 부동산 투자의 만기 현황을 주목했다. 통계에 따르면 1년 이내 만기 도래 규모는 증권사가 3조2000억 원으로 집계됐다. 보험(3조 원)보다 2000억 원 많은 수치다. 증권사의 2년 이내 만기 도래 규모는 1조5000억 원, 3년 이내 만기 도래는 1조7000억 원으로 각각 나타났다. 한은은 증권사의 경우 기한이익상실(EOD, Event of Default), 이자·배당 중단, 투자조건 조정, 공사 지연·중단 등 특이사항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한은은 비은행금융기관의 투자 규모와 손실흡수력 등을 감안할 때 향후 해외대체투자의 부실이 심화되더라도 시스템리스크로 전이될 가능성은 제한적이라고 진단했다.
한은은 “다만 1년 이내 만기 도래 투자 규모가 큰 증권사의 경우 선순위 투자자 등과의 투자조건 조정, 만기연장 등을 통해 국내 금융시스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며 “이와 함께 해외대체투자의 경우 유동성이 낮고 정보 비대칭성이 높은 특성에 비춰볼 때 투자 심사단계에서부터 리스크 평가 절차가 강화돼야할 것”이라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