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기대를 걸고 있는 중국의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에 관해 기업들의 반응이 차갑다. 정부는 중국 리오프닝 확대에 따라 중국 의존도가 높은 만큼 수출 부진은 완화할 것으로 전망한다. 하지만 기업들은 코로나 이전처럼 중국의 강한 수요가 없을 것으로 본다.
지난해 한국의 중국 수출이 부진한 주된 이유로 중국 경제 위축이 꼽힌다. 국제통화기금(IMF) 자료를 인용한 한국무역협회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중국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3.0%는 코로나19 원년인 2020년(2.2%)을 제외하면 1980년 이후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는 중국 정부의 ‘제로 코로나 정책’에 따른 도시 봉쇄로 공장이 폐쇄되고 주민 이동이 제한되면서 수요가 많이 감소한 여파다. 2022년만 봐도 한국의 중국 수출 비중은 22.8%로 전년 대비 2.5%p 하락했다. 이렇다 보니 전망기관들도 중국 리오프닝이 기본적으로 한국 경제에 청신호가 될 것으로 예상한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올해 중국의 경제 회복을 확신할 수 없다는 점에서 부정적인 관측이 나온다. 특히 중국이 점차 경제 회복을 한다고 해도 코로나 이전만큼 강한 수요가 없을 것으로 전망한다.
월스트리트저널(WSJ)는 지난 13일 중국 리오프닝 파급력이 전처럼 크지 않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최근 정부의 재정 부양과 막대한 투자로 상징되는 과거 중국의 위기 극복 모델이 세계 경제 전반의 회복에 직접적인 도움을 줬다면, 이번에는 정부가 아닌 소비자들이 중국의 회복을 주도하고 있기 때문이라며 이같이 보도했다.
기업들 역시 중국에 대한 기대감이 전처럼 크지 않다. 22일 산업계 한 관계자는 “그동안 석유화학, 반도체 등 중국에 대한 의존도가 높았기 때문에 이번 리오프닝이 반가운 것도 있지만, 중국 수요가 코로나 이전처럼 강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은행에서 지난해 말 발표한 ‘2023년 중국 경제전망 및 주요이슈’ 보고서에서도 중국 리오프닝에 대한 기대감을 낮췄다.
보고서는 “예상보다 빠른 중국 정부의 방역정책 변화로 경제는 소비를 중심으로 성장세가 점차 확대되겠지만 리오프닝을 위한 사전 준비가 충분하지 않아 리오프닝 과정에서 불확실성이 높고 경기회복 효과도 제한될 우려가 있다”고 분석했다.
제조업 한 관계자는 “중국 리오프닝에 따라 중국 내수 시장을 공략해 반도체, 석유화학 등 소비재 마케팅 활동을 펼쳐 경기 활성화 시키는 것이 급선무”라며 “그러나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중국 의존도를 낮추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