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년 뒤 농촌인구가 지금보다 150만 명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인구 감소에 따라 생활서비스 공급이 감소하는 악순환이 이어질까 우려되면서 이에 대한 혁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최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발표한 '농업전망 2023'에서 2020년 976만 명이었던 읍·면 단위 농촌 인구는 2050년 845만 명으로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에 따르면 농촌인구는 2010년 875만 명으로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후 귀농과 귀촌 등 활성화 영향으로 2020년 976만 명까지 늘었다. 하지만 2021년 증가세가 꺾이면서 971만 명으로 감소했다.
농경연은 이 같은 감소세가 계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농촌인구는 2030년 943만 명, 2040년 900만 명에 이어 2050년에는 845만 명까지 감소할 것으로 예측됐다.
농촌인구 감소는 자연적인 감소에 더해 귀농·귀촌 인구가 다시 대도시로 몰렸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문제는 인구가 감소하면서 필연적으로 생활서비스 공급도 줄어들고, 이 같은 서비스 감소가 다시 인구를 줄어들게 하는 악순환이 된다는 점이다.
농촌은 대도시에 비해 거주 반경이 매우 넓다. 분산 거주 특성 때문에 생활서비스의 접근도 쉽지 않다. 대도시 동 지역의 평균 면적은 5.6㎢인데 비해 읍은 66.7㎢, 면은 63.1㎢로 10배 이상 차이가 난다.
이 때문에 농경연의 생활서비스 이용실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급의료시설을 차로 이동할 경우 걸리는 시간은 읍 단위는 21.5분, 면 단위는 26.6분에 달한다.
이 외에 노인복지 관련시설이나 평생교육 시설 등으로 이동하는 시간도 평균 20분을 모두 넘어섰다.
농경연은 "차량 이용 시 농촌 주민들은 의료 및 교육시설 까지 가는데 평균 20~25분 정도 걸리고, 도시 지역에 비해 5~10분 정도 더 걸리는 수준"이라며 "고령자가 많은 농촌 지역에서 생활서비스 이용 시 대중교통 수단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대중교통 접근성은 점점 더 열악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농경연은 농촌 인구감소에 대응하고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생활서비스 혁신이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중심거점(읍)-기초거점(면)-배후마을(마을)로 농촌을 재구조화하고 새로운 서비스 플랫폼을 활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일상 생활서비스는 읍·면 단위로, 상대적으로 이용 빈도가 적은 고차서비스는 인근 시·군에 배치하되 교통 접근성을 개선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 정보통신기술(ICT)기술을 활용하고, 디지털 헬스케어 등 농촌형 비대면 의료·돌봄 서비스, 가상현실(VR)·증강현실(AR)을 활용한 디지털 교육 등을 대안으로 내놨다.
농경연은 "인구감소와 고령화는 피할 수 없는 현실이기에 인구감소에 적응하는 다양한 서비스 전달 혁신과 공간 재편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